朴, 승리 요인 세 가지

朴, 승리 요인 세 가지

입력 2012-12-21 00:00
수정 2012-12-21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① ‘반쪽짜리’ 野단일화 ② ‘프레임戰’ 우위 ③ 네거티브 극복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당선인이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반쪽에 그친 야권 단일화, 프레임 전쟁 우위, 네거티브전 극복이 주효했다는 것이 새누리당의 분석이다.

야권 단일화 협상은 대선 본선 국면에서 박 당선인에게 가장 큰 위협이었다. 그러나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 간 협상은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가 우세했다. 박 당선인이 이런 틈새를 효과적으로 공략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과 박 당선인은 야권 단일화에 맞서 복지, 경제민주화 등 전통적인 야당 이슈를 선점하며 ‘준비된 민생 대통령론’으로 맞섰다고 자평한다. 이명박 정부의 ‘경제성장 우선론’에 지친 유권자들에게 ‘포스트 경제성장’ 화두를 앞세워 서민·중산층의 호응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새 정치를 표방하며 바람몰이에 나선 안 전 후보가 중도 사퇴하며 문 전 후보 손을 들어줬지만 문 전 후보는 안 전 후보 지지 세력을 온전히 흡수하지는 못했다. 앞서 1997년 김대중·김종필(DJP) 연대,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는 집권으로 이어졌지만 이번엔 실패했다.

민주당으로선 ‘매끄럽지 못한 단일화’와 ‘문재인 브랜드 부재’가 뼈아프다는 지적이다. 선거일을 한 달도 남겨놓지 않은 상황에서 협상이 늪에 빠지면서 문 전 후보의 ‘통 큰 양보’, 안 전 후보의 ‘아름다운 단일화’는 빛이 바랜 것도 사실이다. 문 전 후보 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20일 “단일화 초반 시간이 지체되면서 문 후보의 경쟁력을 부각할 여유가 부족했다.”고 아쉬워했다.

새누리당은 ‘프레임전(戰)’에서 앞선 것도 승리의 원동력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이 박 당선인을 ‘유신독재 세력의 대표’로 규정했고 이 바람에 선거 구도는 ‘박정희 대 노무현 대결’로 굳어졌으며 이는 결국 역으로 보수층에 박정희 향수를 불러일으켰다는 것이다. 문 전 후보 측은 뒤늦게 ‘이명박근혜’ 정권 심판론을 부각했지만 제대로 먹히지 않았다고 평가된다.

박 당선인이 ‘원칙과 신뢰의 정치→준비된 미래 대 실패한 과거 세력의 대결→여성 대통령론→정권 교체를 넘은 시대 교체’로 그때그때 구호를 바꿨던 것도 유권자들의 호응을 이끌어 낸 것으로 새누리당은 보고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을 둘러싼 과거사 논란도 결과적으로 박 당선인에게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새누리당은 판단한다. 박 당선인은 두 차례에 걸쳐 유신과 인혁당, 정수장학회 등 과거사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고 사과했다. 야권은 박정희 시대 과오를 집요하게 들이댔지만 박 당선인은 국민 대통합 카드를 꺼내들었다. 한광옥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 등 동교동계와 유신 시절 재야 인사들이 국민대통합위원회에 가세한 것이다.

민주당의 네거티브전은 결과적으로 무당파, 중도층의 피로도를 높여 야권에 등을 돌리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새누리당은 주장한다. 박 당선인의 굿판 의혹, TV 토론 아이패드 커닝 의혹, 국가정보원 여직원 댓글 의혹 등이 끊임없이 제기됐지만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야권 단일화의 다크호스였던 안 전 후보, 이정희 통합진보당 전 후보가 결과적으로 보수 대결집의 경고등 역할을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새누리당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통상 보수 진영이 진보 쪽보다 응집력이 약하지만 안 전 후보 사퇴, 이 전 후보 TV 토론 발언 등으로 보수의 위기감이 높아져 표가 최대로 결집했다.”고 말했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2-12-2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