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고민 많은 듯”..비대위 구성 지연 가능성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당 비상대책위원 인선을 놓고 숙고를 거듭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첫 인사인 데다 ‘재창당을 뛰어넘는 쇄신’을 약속한 한나라당이 대외에 내놓는 첫 쇄신 카드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19일 오후 제14차 당 전국위원회에서 박 전 대표를 비대위원장으로 공식 선출, 비대위를 출범시킬 예정이지만 비대위 인선은 이 같은 ‘신중모드’ 속에서 빨라야 이번주 후반, 늦으면 다음주로 넘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친박(친박근혜) 진영의 한 의원은 1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비대위 구성을 놓고 박 전 대표가 고민을 많이 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좋은 분을 인선하려 하는데 그들이 응할 지 등을 묻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겠느냐”며 “전국위 직후에는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도 “박 전 대표의 인사를 보여주는 계기이지 않느냐. 잘 하려면 시간이 걸린다고 본다”며 “해를 넘기면 곤란하겠지만 금주중 구성도 굉장히 빠른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비대위는 ‘박근혜 체제’에서 한나라당의 쇄신 의지를 국민에게 처음으로 드러내는 상징성을 지니는만큼 시간에 쫓기듯 인선할 수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 중진 의원은 “비대위의 컨셉이 중요하다. 최고위 역할에 그치는 지, 한나라당을 바꾸는 인수위 비슷한 형태가 될 지, 내년 4월 총선을 준비하는 선거대책위 성격인지 등에 따라 내부-외부 인사의 참여폭이 달라진다”고 말했다.
현재 비대위가 외부 인사를 중심으로 파격 구성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한 의원은 “이른바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강부자(강남 땅부자)’식 인사는 안된다. 도덕적 흠결도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 정부의 인사난맥을 철저히 탈피함으로써 개혁성을 끌어올리고, 비대위원의 도덕성이 뒤늦게 여론의 지탄을 받는 상황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엄격한 내부 ‘스크린’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또 내년 4월 총선 지역구 출마예정자는 제외시키고, 당내 화합을 위해 친박 인사를 최대한 배제시키며, 당 지지도가 취약한 수도권 30-40대를 겨냥해 ‘서민ㆍ민생돌보기’의 이미지를 가진 인사를 참여시키자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은 박 전 대표의 비대위원 인선이 끝나는대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구성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원내 관계자는 “비대위원 임명이 내일(19일)은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상임전국위에 앞서 비대위원 구성에 대한 의견을 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원내 관계자는 “비대위원장이 임명되면 비대위 구성에 대한 복안을 말씀드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고, 또다른 중진은 “비대위를 띄우기 앞서 박 전 대표가 원내대표나 중진의 의견을 들어보는게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