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재산환원 방식 윤곽

안철수 재산환원 방식 윤곽

입력 2011-12-01 00:00
수정 2011-12-01 16: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재산환원 형태가 조금씩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안 원장은 1일 경기도 판교 안철수연구소 사옥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처음으로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재산환원 방식을 밝혔다.

일단 안 원장은 특정 공익법인에 기부하는 방식보다는 별도의 기부재단을 만들 것으로 보인다.

기부재단은 일부 기부자의 고액기부로 운영되는 형태보다는 기부에 관심이 있는 모든 국민이 동참할 수 있는 ‘참여형 재단’이 될 전망이다.

지원방식은 ‘일방적 시혜’보다는 ‘자활’에 초점을 맞춰 사회적 약자가 스스로 일어설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는 형태를 취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 원장은 간담회에서 “단순히 돈을 나눠주는 장학재단의 형태가 아니라 많은 국민들이 참여하는 국민적 재단의 형태를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 취약계층에게 저리 대출 및 경영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파이낸스(소액대출)’의 형태가 될 것이라는 정치권 분석에 대해 “고민하는 형태 가운데 하나일 뿐이고 이보다 범위가 큰 형태를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이크로 파이낸스가 금융서비스 소외계층에게 제한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안 원장이 만드는 재단의 경우 수혜대상이 대폭 확대될 것임을 시사하는 말이다.

수혜대상은 특히 빈곤층 자녀에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안 원장은 지난달 14일 안철수연구소 임직원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사회적ㆍ경제적 불평등으로 기회를 보장받지 못하고, 마음껏 재능을 키우지 못하는 저소득층 청소년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일에 쓰여지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현재 전문가들과 외국의 다양한 기부모델에 대해 검토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법과 충돌을 피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철수연구소 관계자는 “현재는 검토 단계여서 확정적인 방안이 나오지는 않았다”며 “외국에 다양한 모델이 있는데 법률적인 제약이 많아 전문가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