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반장’ 공천혁명?

‘洪반장’ 공천혁명?

입력 2011-12-01 00:00
수정 2011-12-01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측근 “파격적인 인적쇄신 구상 중” 밀실·나눠먹기 차단 보여주기 숙제

한나라당이 쇄신 연찬회를 계기로 홍준표 대표에게 쇄신의 칼자루를 맡기기로 함에 따라 공천 개혁이라는 난제를 어떻게 풀어낼지 관심이 집중된다.

홍 대표의 한 측근은 30일 “홍 대표가 파격적인 쇄신안을 구상 중이며 대부분 인적 쇄신과 관련된 것”이라면서 “당 안팎에서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느냐’는 말이 나올 정도가 돼야 파격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내년 총선을 앞두고 ‘공천 물갈이’가 초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공천 개혁은 휘발성이 강한 문제다. 지난 18대 총선 공천 당시 친박(친박근혜)계에서 ‘공천 학살’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극심한 후유증을 겪었다. 이러한 공천 갈등을 피할 수 있는 묘수를 찾아야 한다. 또 등 돌린 민심을 되돌리기 위해서는 밀실 공천, 나눠 먹기 공천과 같은 구태를 차단하는 모습도 보여줘야 한다.

공천 개혁의 수위가 미흡하거나 지나쳐도 홍 대표에 대한 사퇴 압력은 다시 불거질 수 있다. 결국 객관적이고 투명한 기준을 제시해 실마리를 찾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완전국민경선제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경선 후유증 등 우려도 만만찮다. 경선에선 현역 의원이나 당협위원장이 절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정치 신인의 진입을 원천봉쇄하는 방안이 될 수도 있다. 당 공천개혁특위가 개혁안으로 제시했지만 당론으로 채택되지 못한 이유이기도 하다. ‘나가수’(나는 가수다)식 공개 오디션 방식도 거론된다. 그러나 이 역시도 이력이나 외모, 언변 등 정치 외적인 요인에 치우칠 가능성이 높고, 심사 패널 구성 문제를 놓고도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일각에서는 최고위에 ‘비토권제도’를 도입해 공천 작업을 최고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1-12-0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