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세계기상기구(WMO)의 전문가팀이 8년 만에 북한을 방문, 기상 관측소 현황을 파악해 관측기구 지원 여부를 검토하고 북측의 요청이 있으면 백두산 화산 폭발과 지진 등에 대한 논의도 할 계획이라고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9일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18일 평양에 도착해 오는 25일까지 일주일간 북한에 머물 예정인 이 전문가팀은 집중호우로 잦은 홍수 피해를 당하는 북한의 사정을 고려해 홍수와 가뭄관리 현황을 주로 파악할 예정이다.
WMO는 “수문기상국의 기상예보 시스템과 기상관측소, 위성통신 수신설비 현황을 확인하고 북한의 기상장비 지원 요청을 검토할 것”이라며 “북한이 지원요청한 장비목록을 확인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미국과 한국, 중국 정부에 도움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WMO는 백두산 화산폭발과 지진, 방사능 오염 등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느냐는 RFA의 질문에 “북한이 문의해온다면 가능한 안의 범위에서 논의할 수 있다”고 답했다.
북한은 최근 한국에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 등을 논의하기 위한 남북회담을 제의했고 우리 정부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WMO는 작년 11월 전문가팀을 북한에 파견할 계획이었지만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등 한반도 긴장이 높아지자 방북일정을 연기했다.
이번에 방북한 전문가팀은 WMO의 아비나쉬 타이야기 기후 관리국 국장을 포함해 기후·수문 전문가 랑 홍리앙, 통신망 전문가 샤 이즈호를 포함한 중국인 전문가 2명 등 3명으로 구성됐다.
연합뉴스
방송에 따르면 18일 평양에 도착해 오는 25일까지 일주일간 북한에 머물 예정인 이 전문가팀은 집중호우로 잦은 홍수 피해를 당하는 북한의 사정을 고려해 홍수와 가뭄관리 현황을 주로 파악할 예정이다.
WMO는 “수문기상국의 기상예보 시스템과 기상관측소, 위성통신 수신설비 현황을 확인하고 북한의 기상장비 지원 요청을 검토할 것”이라며 “북한이 지원요청한 장비목록을 확인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미국과 한국, 중국 정부에 도움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WMO는 백두산 화산폭발과 지진, 방사능 오염 등과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수 있느냐는 RFA의 질문에 “북한이 문의해온다면 가능한 안의 범위에서 논의할 수 있다”고 답했다.
북한은 최근 한국에 백두산 화산 공동연구 등을 논의하기 위한 남북회담을 제의했고 우리 정부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WMO는 작년 11월 전문가팀을 북한에 파견할 계획이었지만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등 한반도 긴장이 높아지자 방북일정을 연기했다.
이번에 방북한 전문가팀은 WMO의 아비나쉬 타이야기 기후 관리국 국장을 포함해 기후·수문 전문가 랑 홍리앙, 통신망 전문가 샤 이즈호를 포함한 중국인 전문가 2명 등 3명으로 구성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