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톡톡 다시일기] 왕양명 7대 어록

[고전 톡톡 다시일기] 왕양명 7대 어록

입력 2010-01-25 00:00
수정 2010-01-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딜 가더라도 道가 아닌 것 없고 어딜 가더라도 공부 아닌 것 없네”

① 한 구간을 가야만 비로소 한 구간을 알 수 있다.갈림길에 이르러 의심이 생기면 곧 질문을 던지고, 질문이 끝난 뒤에 다시 길을 가야만 가고자 하는 곳에 점점 도달할 수 있다.(<육징의 기록>)

② 학문하는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마음을 밝게 하는 공부가 먼저 있어야 한다. 학문하는 사람들은 오직 이 마음이 밝지 못할까 근심할 뿐이지 사태의 변화를 모두 연구할 수 없을까 의심하지 않는다.(<육징의 기록>)

③ 언어로 다른 사람을 비방하는 것은 그 비방의 정도가 얕은 것이다. 만약 자기가 몸소 실천할 수 없고 한갓 귀로 들어온 것을 입으로 내뱉으며 시끄럽게 세월을 보낸다면 이것은 몸으로 비방하는 것으로, 그 비방의 정도가 깊은 것이다.(<설간의 기록>)

④ 사람은 반드시 일에서 연마하고 공부해야만 보탬이 있게 된다. 만약 고요함만을 좋아한다면 일을 만났을 때 곧 혼란스럽게 되어 결국 진보가 없을 것이다.(<설간의 기록>)

⑤ 성인은 비록 나면서 알고 편안히 행하지만 그 마음은 감히 스스로 자부하지 않으며, 기꺼이 애써서 알고 힘써서 행하는 공부를 한다. 애써서 알고 힘써서 행하는 자가 도리어 나면서부터 알고 편안히 행하는 일을 하려고 한들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고동교에게 답하는 편지>)

⑥ 어디를 가더라도 도가 아닌 것이 없으며, 어디를 가더라도 공부가 아닌 것이 없다.(<황이방의 기록>)

⑦ 그대들은 여기서 기필코 성인이 되겠다는 마음을 세우는 데 힘써야 한다. 반드시 몽둥이로 한 대 내려치면 한 줄기 맷자국이 남고 손바닥으로 한 대 내려치면 손바닥만 한 핏자국이 생기도록 시시각각 절실하게 힘써야 비로소 내 말을 알아듣고 구절마다 힘을 얻을 수 있다. 만약 흐리멍텅하게 세월만 보낸다면 마치 한 덩어리의 죽은 육신이 때려도 아픔을 알지 못하는 것과 같아서 끝내 이를 이루지 못할 것이다.(<황이방의 기록>)

2010-01-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