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12월 24일 윌리엄 앤더스 촬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05031_O2.jpg)
![1968년 12월 24일 윌리엄 앤더스 촬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05031.jpg)
1968년 12월 24일 윌리엄 앤더스 촬영
이 우주선의 지휘관은 미 공군 장교 출신인 프랭크 보먼이었다. 그는 뛰어난 전투기 조종 실력과 노련함 등을 인정받아 NASA의 두 번째 우주비행사 그룹에 합류한 뒤 그 해 12월 21~27일 인류 최초로 달 주위를 도는 임무를 지휘했다.
보먼은 짐 러벨, 윌리엄 앤더스와 함께 달 표면 위로 지구가 떠오르는 모습을 목격한 최초의 인류로 기록되는 영광을 안았다. 사진을 찍은 이는 앤더스였다. 국제천문연맹(IAU)은 2018년 아폴로 8호의 달 방문 50주년을 기념해 이 사진에 ‘지구돋이’(Earthrise)라는 이름을 붙였다.
11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보먼은 지난 7일 몬태나주 빌링스에서 95세 삶을 마쳤다. NASA 기록에 따르면 보먼은 1968년 임무를 되살리며 “크리스마스 이브에 (달 궤도에서) 지구를 돌아본 것은 내게 엄청난 영향을 줬다. 그 경이로움과 함께 지구가 우주에서 너무 외로워 보인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그것은 색을 지닌 유일한 것이었다. 비행 중 가장 감정적인 순간이었다”고 말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0503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05033.jpg)
![프랭크 보먼이 제미니 7호의 중량과 균형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NASA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05034_O2.jpg)
NASA 제공
![프랭크 보먼이 제미니 7호의 중량과 균형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NASA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12/SSC_20231112105034.jpg)
프랭크 보먼이 제미니 7호의 중량과 균형 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NASA 제공
NASA 제공
넬슨 국장은 “프랭크는 ‘탐험은 인간 정신의 본질’이라고 말했으며 탐험이 인류를 하나로 묶는 힘을 잘 알고 있었다”며 추모했다.
보먼은 또 아폴로 1호의 테스트 훈련 도중 발생한 화재로 우주비행사 3명이 사망한 사고를 조사하는 ‘아폴로 204 화재 조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으며, 이후 아폴로 프로그램 상주 관리자로 아폴로 우주선을 재설계하는 팀을 이끌기도 했다. NASA에서 퇴직한 뒤 1975년 민간 항공사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던 이스턴 항공의 최고경영자(CEO)로 재직한 이력도 있다.
아폴로 임무에 앞서 1965년 제미니 7호에 탑승, 지구 저궤도에 14일 머무르며 제미니 6호와의 우주 랑데뷰를 수행했다.
1993년 미국 우주인 명예의전당에 입회했으며, 인디애나주와 일리노이주 고속도로 일부 구간에 자신의 이름이 붙여지는 영예도 누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