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소시민의 멍든 삶 폭소보다 ‘애잔한 슬픔’ 전해
100분의 러닝타임 중 95분은 비교적 잔잔했지만 몇 장면에서 폭소가 터졌고, 마지막 5분 동안은 눈가가 시큰거렸다. 지난 10일부터 서울 예장동 남산예술센터 무대에 오른 연극 ‘전명출 평전’이 바로 그것.![](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2/SSI_20120712175025.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12/SSI_20120712175025.jpg)
그는 농민 후계자로 살아가다 1979년 10월 26일 신의 계시를 받아 울산으로 삶의 터전을 옮긴다. 희한하게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일과 신의 계시 날짜가 묘하게 맞아떨어진다. 울산을 선택한 건 농민 후계자에서 기업인으로 거듭난, 현대가의 정주영 왕회장이 그의 롤모델이기 때문이다. “정주영 하면, 울산 아이가.”라고 외치며 그는 울산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한다.
지금이야 ‘저축은행 비리’ 등 3차 산업이 사회적 비리 사건의 화두가 되지만, 당시만 해도 ‘부실 공사’는 죄도 아닐 만큼 공공연히 이뤄진 건설업계의 ‘영업비밀’이었다. 작품에서도 1980년대 전명출을 그리며 ‘부실공사’를 그의 인생을 바꿀 만한 계기로 활용한다. 전명출은 자재를 빼돌려 부실공사를 일삼는 현장소장에게 대들다 그 유명한 ‘삼청 교육대’에 끌려가고, 새사람이 돼 나온다. 자신 또한 부실공사 주역으로 승승장구하며 성장한다. 그 과정에서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도 거론되고, IMF 사태도 벌어지고, 주식 투자며 땅투기, 4대강 사업 지역 땅 보상 및 이를 이용한 사기 사건 등이 쏠쏠한 아이템으로 극을 이끌어 나간다.
전명출은 평범했지만, 시대의 대세를 빨리 체화해 성공도 하고 나락에도 빠졌다. 그런 그를 떠나 보내는 아내 순님이 어린 시절 남편과의 아름다운 추억을 회상하며 슬퍼하는 마지막 5분은 이 연극의 베스트 장면이다.
100분 내내 미친 듯이 웃거나 울 수 있는 작품은 아니다. 그렇다고 진지하게 대한민국 근대화 과정의 부조리를 지적한 작품도 아니다. 적당히 웃기고 울리며 시대의 부조리를 양념으로 활용한 연극이다. 29일까지. 2만 5000원. (02)758-2150.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2-07-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