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트렌드 알려주는 책이 요새 트렌드… ‘옥석’ 잘 가려야 해요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트렌드 알려주는 책이 요새 트렌드… ‘옥석’ 잘 가려야 해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11-08 17:50
수정 2018-11-08 18: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요새 책 트렌드는 뭐야?” 신간 서적을 매주 받아 보는 ‘책골남’이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정답을 잘 아는 질문이니 답하기는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1개월 기준으로 가장 눈에 띄게 들어오는 책 종류를 말해 주면 되니까요.

요새 책 트렌드는 ‘트렌드를 알려주는 책’입니다. 지난 2주 동안 7종이나 들어왔습니다. ‘트렌드 코리아 2019’(미래의 창), ‘2019 대한민국 트렌드’(한국경제신문), ‘2019 한국경제 대전망’(21세기북스), ‘라이프 트렌드 2019’(부키), ‘디지털 트렌드 2019’(책들의정원), ‘2019 ICT 트렌드’(한스미디어), ‘미세유행 2019’(정한책방). 책 제목은 약속이나 한 듯 ‘2019’와 ‘트렌드’입니다. 이런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뚜렷합니다. ‘내년에는 이런 게 유행하니, 알고는 있어라.’ 아마 이 정도일 겁니다.

책골남은 사실 트렌드를 알려주는 책을 좋아합니다. 복잡한 우리 사회를 몇 개의 키워드로 요약해 알려주니까요. 바쁜 데다가 정보가 넘쳐나는 지금, 모든 분야에 일일이 관심을 두긴 어렵습니다. 가끔은 좀더 넓은 시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일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 몇 개의 굵직한 키워드로 마치 세상을 이해한 듯한 생각도 들곤 합니다.

그러나 씁쓸한 마음을 지우긴 어렵습니다. 키워드 앞글자를 억지로 짜맞춰 단어를 만들어내는 조잡한 행태가 거슬립니다.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를 들고 나온 짜깁기성 함량 미달 책도 많습니다. 여러 명의 저자가 나눠 쓰느라 일관성이 틀어지는 사례도 빈번합니다. 무엇보다 자기반성이 없습니다. 지난해에 자신들이 내놨던 트렌드가 올해 맞았는지 틀렸는지 따지지 않습니다. ‘신문에 나오니까, 설문을 해보니까 이렇더라’며 던져놓고 그만입니다. 게다가 책에서 ‘돈 냄새’가 너무 납니다. 트렌드 알려주는 책이 뜨니 우후죽순 마구 편승하는 모습은 꼴불견입니다. 서점에서 목차만 훑어봐도 되지 않을까, 차라리 평소에 신문을 좀더 잘 챙겨보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gjkim@seoul.co.kr

2018-11-09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