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책세상] 즈장신위 (之江新語)

[지구촌 책세상] 즈장신위 (之江新語)

입력 2014-01-04 00:00
수정 2014-01-04 0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저장성 당서기 시진핑을 보면 국가주석 시진핑이 보인다

중국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직접 쓴 글을 엮은 ‘즈장신위’(之江新語)가 최근 재출간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책은 시 주석이 저장(浙江)성 당서기 재직 시절인 2002년 2월 25일부터 2007년 3월 25일까지 지역 기관지인 저장일보(浙江日報)에 ‘즈장신위’란 제목으로 연재한 칼럼을 모은 것이다. 즈장은 저장(浙江)의 옛 이름이다. 시 주석은 당시 저신(哲欣)이란 필명으로 글을 연재했고 이후 총 232편에 이르는 글을 한데 묶어 2007년 5월 책으로 펴냈다. 시 주석이 2012년 11월 공산당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를 통해 총서기에 등극한 직후 재출간된 데 이어 지난 연말 다시 발간됐다.

책은 시진핑 정부의 각종 정책을 엿볼 수 있어 인기라는 평이다. 시 주석이 취임 이후 내놓은 주요 아이디어 상당수를 책에서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지난달 중앙조직부가 지방간부의 업적을 평가할 때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을 주요 기준으로 삼았던 관행을 철폐한 ‘GDP 영웅론 폐지’ 주장은 시 주석이 2004년 2월 8일 게재한 칼럼의 아이디어를 그대로 옮긴 것이다. 칼럼은 “GDP는 간부의 성적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이지만 그것이 유일한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경제 발전이 가져온 (빈부격차) 문제를 해소하고 사회 안정을 유지하면서 민생의 고충을 해결하는 것도 평가 항목에 넣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책에는 또 시 주석이 지난해 10월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논란이 된 ‘(상호)비판과 자아비판’ 운동에 대한 시각도 담겨 있다. 그는 일찍이 칼럼에서 이 운동은 당이 엄격히 집행해야 할 주요 작풍(作風·업무 스타일)이라며 철저히 관철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아울러 민생탐방은 사전통지 없이 해야 한다고 역설한 칼럼도 눈에 띈다. 실제로 시 주석은 집권 이후 어디든 사전 통보 없이 ‘깜짝’ 방문해 화제를 낳고 있다. 그가 찾아간 어느 빈곤 마을에서 한 할머니가 시 주석을 알아보지 못하고 “선생은 누구시냐”고 물었다는 에피소드가 보도를 통해 전해진 바 있다.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그가 어떤 식으로 중국 사회의 과제인 법치를 실현할 것인가다. 그는 7편의 칼럼을 통해 법치가 새 시대의 요구라며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총서기 취임 직후 “공산당은 반드시 헌법과 법률의 범위 내에서 활동해야 한다”며 법치를 주장했으나 이후 서구식 헌정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자유파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법치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4-01-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