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종이 제조 김삼식·신현세·안치용, 무형문화재 한지장 보유자 인정 예고

전통종이 제조 김삼식·신현세·안치용, 무형문화재 한지장 보유자 인정 예고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5-26 22:32
수정 2021-05-27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 보유자로 김삼식(왼쪽·75), 신현세(가운데·74), 안치용(오른쪽·62)씨를 인정 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한지장은 우리나라 전통 종이 제조 기술을 보유한 장인으로, 현재는 홍춘수(79)씨가 유일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다.

경북 무형문화재 문경한지장 보유자인 김씨는 1955년부터 67년째 한지를 제작해 왔다. 한지 생산을 위한 모든 재료를 직접 재배하고, 도구와 설비 등을 현대화하면서도 전통성을 고수하려는 노력을 인정받았다. 경남 무형문화재 한지장 보유자인 신씨는 1961년에 입문해 보수·복원 및 사경용 전통한지를 특화해 생산하고 있다. 1981년부터 한지를 제작한 안치용씨는 충북 무형문화재 한지장 보유자로, 2013년 별세한 류행영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 보유자에게 한지 제작 기술을 배워 숙련도가 높다.

문화재청은 이번 한지장 보유자 인정을 위해 2년간 현장실사, 무형문화재위원회 검토를 진행했다. 앞으로 30일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한지장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1-05-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