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문학의 큰 별 소설가 이호철씨 별세

분단문학의 큰 별 소설가 이호철씨 별세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9-18 22:57
수정 2016-09-19 08: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분단문학의 큰 별 소설가 이호철씨 별세
분단문학의 큰 별 소설가 이호철씨 별세 분단문학을 대표한 소설가 이호철 씨가 별세했다. 향년 85세. 뇌종양으로 투병하던 고인은 최근 병세가 악화해 18일 오후 7시 32분 은평구 한 병원에서 운명했다. 빈소는 신촌세브란스 병원에 차려졌으며, 장례는 4일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사진은 2014년 7월 서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에서 열린 2014 탈북 문학 세미나 및 남북문인 시 낭송회에서 기조강연을 하는 모습. 2016.9.18 [연합뉴스 자료사진]
분단문학을 대표한 소설가 이호철 씨가 18일 별세했다. 향년 85세.

뇌종양으로 투병하던 고인은 최근 병세가 악화해 이날 오후 7시 32분 은평구의 한 병원에서 운명했다.

1932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950년 한국전쟁에 인민군으로 동원돼 포로로 잡혔다가 풀려난 뒤 이듬해 1·4 후퇴 때 혈혈단신으로 월남했다.

1955년 ‘문학예술’에 단편소설 ‘탈향’을 발표하며 등단한 이후 60여 년간 장편소설 ‘소시민’, ‘서울은 만원이다’, ‘남풍북풍’, ‘門’, ‘그 겨울의 긴 계곡’, ‘재미있는 세상’, 중·단편소설 ‘퇴역 선임하사’, ‘무너지는 소리’, ‘큰 산’, ‘나상’, ‘판문점’, 연작소설 ‘남녘사람 북녁사람’ 등 수십 편의 작품을 통해 전쟁과 남북 분단 문제에 천착해왔다.

유신헌법 개헌 반대 서명을 주도했다가 1974년 문인간첩단 사건에 연루돼 국가보안법 혐의로 투옥되는 등 민주화 운동에도 앞장섰다. 문인간첩단 사건은 법원의 재심으로 2011년 무죄 판결을 받았다.

고인은 전쟁과 이산의 아픔을 직접 체험한 작가로서 남북 분단의 비극을 압축된 필치와 자의식이 투영된 세련된 언어로 표현했다는 평을 받으며 현대문학상, 동인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대산문학상, 3·1문화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2004년에는 독일어로 번역된 소설 ‘남녘사람 북녁사람’으로 독일 예나 대학이 주는 국제 학술·예술 교류 공로상인 ‘프리드리히 쉴러’ 메달을 받기도 했다.

고인의 작품은 가까운 중국, 일본은 물론 독일,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러시아 등 유럽과 영미권에서 번역·출간돼 호평받았다. 고인은 독일과 헝가리, 미국 등 여러 나라에 초청돼 낭독회를 열고 분단의 현실을 세계적으로 알렸다.

2011년에는 팔순을 기념해 고인을 따르는 문인, 예술인 등이 주축이 된 사단법인 ‘이호철문학재단’이 발족했으며 최일남, 이어령, 신달자, 김승옥 등 동료 문인과 지인, 제자 등 87명의 글을 모은 기념문집 ‘큰산과 나’가 출간됐다.

자유실천문인협의회 대표, 한국소설가협회 공동대표, 한국문인협회 고문 등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을 지냈다.

유족으로는 부인 조민자 여사와 딸 윤정 씨가 있다.

빈소는 신촌세브란스 병원에 차려졌으며, 장례는 4일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다. 장지는 광주광역시에 있는 국립 5·18 민주묘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