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들, 비행기 탑승 거부”
대한항공 “안전상 조치” 해명
전장연, 두 컷 만평으로 비판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ENA 방송화면,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3/SSI_20220803155057_O2.jpg)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ENA 방송화면,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3/SSI_20220803155057.jpg)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ENA 방송화면, 연합뉴스
![전장연 페이스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3/SSI_20220803155112_O2.jpg)
![전장연 페이스북](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3/SSI_20220803155112.jpg)
전장연 페이스북
전장연은 지난 2일 ‘자폐는’이라는 제목의 2컷 만평을 공개했다. 왼쪽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지닌 우영우가 “80년 전만 해도 자폐는 살 가치가 없는 병이었다. 80년 전만 해도 저는 살 가치가 없는 사람이었다”고 자조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 대사는 나치 독일 시절 일어난 T4 프로그램을 언급한 장면이다. T4 프로그램은 1939년 나치가 재정 부담을 이유로 장애인 30만 명을 집단 학살한 사건이다.
오른쪽에는 ‘2022년 자폐성 장애인 승객 탑승 거부’라고 적으며 날아가는 비행기를 바라보는 모자 모습을 담았다.
![전장연 출근길 시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5/03/SSI_20220503102544_O2.jpg)
![전장연 출근길 시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5/03/SSI_20220503102544.jpg)
전장연 출근길 시위
전국장애인철폐연대(전장연) 소속 장애인들이 3일 오전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서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를 하고 있다. 2022.5.3 연합뉴스
대한항공은 A씨의 아들이 해당 항공편에 탑승한 뒤 기내·전 후방을 배회하다가 탑승교 바깥으로 뛰쳐나갔고, 좌석에 앉아 달라는 수차례의 요청에도 착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대한항공은 “보호자인 동반인이 따라다니며 제지하려고 했지만 착석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 이어졌다. 기장이 운항 중 항공기 및 승객의 안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해당 승객의 하기를 결정할 수 밖에 없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안타까운 상황임을 고려해 이들의 항공권을 전액 환불조치 하겠다고 말했다.
전장연은 “사람들은 우영우에게 환호를 보내고 공감한다”며 “하지만 우영우가 아닌 다른 장애인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거나 차별과 배제를 받는 상황에 처하면 장애인은 살 가치가 없는 상황인 것처럼 비난한다”고 비판했다. 대한항공 사태에 대해선 “아무도 그 장애인이 함께 비행기를 타고 이동할 수 있는지에 관해 관심이 없었다. 마치 그 장애인이 안전을 위협하는 사람인 양 몰아세우기 바빴다”고 강조했다.
전장연은 “이것이 우영우가 드라마에서 말한 한국의 장애인이 짊어진 ‘장애의 무게’다. 배제되는 것이 당연한 사회, 너무나 쉽게 장애인이 문제인 것처럼 몰아세우는 사회”라며 “단지 드라마가 아닌 현실에서 장애인이 함께 살아가기 위해선 어떤 것을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고민할 때”라고 일갈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