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년 전국 웃음준 국민MC 송해
‘전국노래자랑’ 쉬면서 6kg 감량
영화 ‘송해 1927’ 개봉 관객 만나
![국내 최고령 방송인 송해(94)가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KBS에서 열린 KBS 1TV ‘아침마당’을 마치고 방송국을 나서며 정겨운 손인사를 하고 있다. 그는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송해 1927’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송해 1927’은 ‘전국노래자랑’의 MC로 수십년간 사랑받아온 송해의 인생사를 돌아보는 작품이다. 2021.11.9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09/SSI_20211109134024_O2.jpg)
그는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송해 1927’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송해 1927’은 ‘전국노래자랑’의 MC로 수십년간 사랑받아온 송해의 인생사를 돌아보는 작품이다. 2021.11.9
뉴스1
![국내 최고령 방송인 송해(94)가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KBS에서 열린 KBS 1TV ‘아침마당’을 마치고 방송국을 나서며 정겨운 손인사를 하고 있다. 그는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송해 1927’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송해 1927’은 ‘전국노래자랑’의 MC로 수십년간 사랑받아온 송해의 인생사를 돌아보는 작품이다. 2021.11.9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09/SSI_20211109134024.jpg)
국내 최고령 방송인 송해(94)가 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KBS에서 열린 KBS 1TV ‘아침마당’을 마치고 방송국을 나서며 정겨운 손인사를 하고 있다.
그는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송해 1927’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송해 1927’은 ‘전국노래자랑’의 MC로 수십년간 사랑받아온 송해의 인생사를 돌아보는 작품이다. 2021.11.9
뉴스1
그는 자신을 주인공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송해 1927’의 개봉을 앞두고 있다. ‘송해 1927’은 ‘전국노래자랑’의 MC로 수십년간 사랑받아온 송해의 인생사를 돌아보는 작품이다. 2021.11.9
뉴스1
![송해(가운데)가 초대가수 트윈걸스와 함께 노래를 하는 모습. 그는 이날 2시간 15분간 지친 기색 없이 공연을 이끌었다. 지니픽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08/SSI_20210508104206_O2.jpg)
![송해(가운데)가 초대가수 트윈걸스와 함께 노래를 하는 모습. 그는 이날 2시간 15분간 지친 기색 없이 공연을 이끌었다. 지니픽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5/08/SSI_20210508104206.jpg)
송해(가운데)가 초대가수 트윈걸스와 함께 노래를 하는 모습. 그는 이날 2시간 15분간 지친 기색 없이 공연을 이끌었다. 지니픽 제공
1927년 황해도 재령에서 송복희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송해는 한국전쟁 때 홀로 사선을 넘어 부산으로 내려왔다. 1955년 ‘창공악극단’으로 데뷔한 후 1988년부터 ‘전국노래자랑’ MC를 맡았고, 잠시 하차했다가 1994년 다시 복귀해 지금까지 진행 중이다. 지난해 찍고 18일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 ‘송해 1927’(감독 윤재호)에서는 그동안 쉽게 꺼내지 못했던 아픔을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송해는 “차값을 낼 돈이 없어서 항상 나무 그늘 밑에 있었다. 그래서 나무 그늘 거지라고 했었다. 다 그런 시절이 있다. 다 작은 나무가 커서 큰 나무 된다. 그런 걸 겪고 지난다”라며 “젊어 고생은 돈 쓰고도 한다고 하지 않나, 지금은 잘 했다고 한다. 일가친적 없어서 고생을 했지만 아픔이라는 게 나를 끌어줬다, 무기로 삼았다, 백 번 천 번 자랑하고 싶다”라고 털어놨다.
1986년 22세에 하나뿐인 아들 창진씨가 오토바이 사고로 세상을 떠나면서, 가수의 꿈을 반대했던 것이 가슴에 사무친다는 송해다. 송해는 “가슴에 묻고 간다는 자식이다, 이것은 잊어버릴 수 없다”면서도 아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 뺑소니 트럭 운전자를 찾는 것은 포기했다. 그 사람을 찾으면서 그 사람 가족의 생계가 마음에 걸렸다는 송해는 자신의 한도, 후회도 받아들인 채 살아가기로 했다.
![영화 송해 1927 스틸컷](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09/SSI_20211109144533_O2.jpg)
![영화 송해 1927 스틸컷](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09/SSI_20211109144533.jpg)
영화 송해 1927 스틸컷
송해의 막내딸 숙연씨는 하늘로 간 창진씨의 자작곡을 들려줬고, 아들을 보낸 지 35년 만에 그 노래를 들은 송해는 고개를 숙이고 눈물을 흘렸다. 송해는 “나보다 더 아픈 운명을 겪고 있는 분들은 많은데 여기서 주저앉으면 안 된다, 오히려 그분들을 위로하고 따라가는 게 내 일 아닌가 했다”라고 담담히 말했다.
최근 코로나19로 전국노래자랑이 쉬면서 살이 많이 빠진 송해는 “의사들이 내가 130까지는 산다고 하더라”라며 “돌아다니는 게 직업인데 못 돌아다니고 갇혀 있으니까 자꾸 빠진다, 더 이상 빠지지 않는 게 술 마셨던 게 지게미가 빠지는 거 같다”라며 다시 진행하며 사람들을 마주하고 싶다고 했다.
코로나19로 지친 국민들에게 송해는 위로를 건넸다. 그는 “전세계가 고통받고 있다. 인내하고 희망을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여러분 곁에는 나 같은 걸걸한 친구가 있으니 염려 갖지 말고 희망의 끈을 놓지 말았으면 한다. 이 시대 사람들이 고통은 다 끝을 내려줘야한다. 그래야 후대가 자신의 길을 간다”라고 격려했다.
![손자와 통화하는 송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09/SSI_20211109144511_O2.jpg)
![손자와 통화하는 송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09/SSI_20211109144511.jpg)
손자와 통화하는 송해
영화 송해 1927 스틸컷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