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 일지

반구대 암각화 보존대책 일지

입력 2013-06-16 00:00
수정 2013-06-16 14: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3년 암각화 보존대책 연구 용역(서울대, 석조문화재보존과학연구회)

-사연댐 수위조절·유로 변경·차수벽 설치안 등 제시

-울산시가 지지한 차수벽 설치는 학계·시민단체 반발로 무산

▲2007-2009 관계기관(문화재청·울산시·학계) 대책회의 및 공청회 다수 개최

▲2008.7-2009.6, 2011.8 문화재위원회 심의, 관계전문가 현지조사 및 자문회의

-울산시 제시안에 대해 위원회 검토 결과 역사문화경관 훼손 심해 모두 부결, 근본적인 보존방안 마련시까지 사연댐 수위를 낮추어 암각화 보존 결론

▲2008.10.22 국토해양부, 사연댐 수위조절 방안 검토결과 제출

-울산시 생활용수 평균사용량 14.2만t/일, 사연댐 수위를 낮추더라도 기존 용수량 공급가능 결론

▲2009.7.15 국무총리실, 조정회의(국무차장 주재)

-사연댐 수문설치 및 수위조절을 통해 보존토록 결정

-수문설치는 약 145억원 소요 추정

▲2009.12.30 국토해양부, 2025 수도정비기본계획 고시

-사연댐 수위조절에 따른 대체수원 및 울산시 장래 청정수원 확보 방안 거론

-운문댐 여유 수원 활용(1천544억원, 7만t/일), 대암댐 용도전환(663억원, 5만t/일)

▲2010.1.11 ‘대곡천 암각화군’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2010.6.29 울산시, 대체수원 확보 전제로 사연댐 수문설치 동의

▲2011.7.27 운문댐 여유수원 활용은 ‘경북·대구권 맑은물 공급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 없음’으로 나와 무산

▲2011.8.18 문화재청, 울산시 제시 유로변경안 등 문화재위원회 상정, 부결

▲2011.9.21 울산시장, 반구대암각화 보존방안 4개 대안 제시

-차수벽 설치, 생태제방설치, 터널형유로변경 1·2안

▲2012.05-2013.03 울산시, 반구대암각화 보존 관련 수리모형 실험

-’터널형 물길 변경안’ 등 울산시 4개 보존방안 수리학적 타당성 실험

-생태제방안을 최적안으로 주장

▲2013.3.19 반구대 운동가 출신 변영섭 문화재청장 취임

-취임사서 반구대 TF팀 운영 방침 천명

▲2013.4.11 문화재청, 중앙언론 상대 반구대 암각화 현장 설명회 개최

-명승 지정·세계유산 등재 계획 확정 발표

-박맹우 울산시장 현장에서 수위조절 반대 의견 개진

▲2013.4.17-5.21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획전 ‘그림으로 쓴 역사책 국보 반구대 암각화, 물속에 잠깁니다’ 개최

▲2013.5.02 새누리당, 울산 반구대암각화박물관서 최고위원회의 주재

-황우여 대표, 임시제방안 제시

▲2013.5.21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반구대암각화 현장설명회 현지 주민 반발로 무산

▲2013.5.22 울산서 반구대암각화보존특별대책위원회 출범

-울산지역 5개 구·군 문화원, 울산상공회의소, 서울 주 발전협의회 등 20여 개 문화·경제단체 등이 주축, 지역 주장 대변 천명

▲2013.5.28 박근혜 대통령, “중립적 갈등중재기구 설치활용 검토해야” 역설

▲2013.6.01 정홍원 국무총리 반구대 현장 방문

▲2013.6.16 정홍원 국무총리, ‘카이네틱 댐’ 설치를 통한 보존방안 발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