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경영의 원칙】안철수 지음/서울대 출판문화원 펴냄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은 의사에서 벤처기업인으로, 또 대학교수로 파격적인 변신을 거듭해 왔다. 정치가로의 변신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변신의 기저에서 작용하는 것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건 과거의 성공을 버리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결단의 순간마다 어떤 원칙이 작용할 것이란 점이다.‘안철수, 경영의 원칙’(서울대 출판문화원 펴냄)은 이처럼 안 원장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사회 등에 대한 ‘경영’의 원칙, 기업의 책임 등에 대한 견해를 밝힌 책이다. 지난해 3월 그가 서울대 ‘관악초청강연’에서 한 강연 내용, 참석자와의 일문일답 등을 원문 그대로 담았다. 따라서 그의 생각을 가리는 편집과 왜곡이 개입할 틈이 없다.
안 원장은 ‘결단의 세 원칙’을 갖고 있다. 첫째는 ‘과거 잊기’다. 그는 특히 실패보다 성공한 경험을 경계했다. “한번 자그마한 것을 가지게 되면 그것을 놓지 않는 한도 내에서 결정을 하게 돼, 결국 마음이 약해지고 과감한 결단을 못 내리게 된다. 그래서 정말로 객관적으로 인생에 중대한 결정을 할 때는 과거를 잊어버리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는 ‘주변 사람의 평가에 연연하지 않기’다. “주변 사람들이 다 원하는 길을 가게 되면 당장은 좋지만 만약에 본인이 행복하지 않은 경우라면 오래갈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는 ‘미래의 결과에 미리 욕심 내지 않기’다. 결과에 대해 먼저 욕심을 내고 결과만 갖고 생각하다 보면 판단을 그르치기 쉽다는 게 이유다.
그는 이어 정치와 전쟁의 차이점에 대해 “어떤 책을 보니, 둘 다 적과 싸우는 것은 똑같은데 전쟁은 적을 믿으면 안 되는 반면 정치는 적을 믿어야 정치가 된다고 한다.”며 “그런 맥락에서 보면 우리나라에는 정치가 없다.”고 꼬집었다. 95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12-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