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1 13일·14일밤
아무르강은 몽골에서 발원해 러시아, 중국의 국경을 가르며 오호츠크해로 흘러 들어간다. 길이는 4400㎞. 동북아 생태와 문화의 원류이며 한반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강이다.![동북아 생태의 원형을 간직한 것으로 평가받는 아무르강의 줄기를 따라 자연의 거대함과 그 안에서 하루하루를 보내는 인간의 생활상을 담은 KBS 5부작 동아시아 생명대탐사 ‘아무르’의 한 장면. KBS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12/SSI_20110412190545.jpg)
KBS 제공
![동북아 생태의 원형을 간직한 것으로 평가받는 아무르강의 줄기를 따라 자연의 거대함과 그 안에서 하루하루를 보내는 인간의 생활상을 담은 KBS 5부작 동아시아 생명대탐사 ‘아무르’의 한 장면. KBS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12/SSI_20110412190545.jpg)
동북아 생태의 원형을 간직한 것으로 평가받는 아무르강의 줄기를 따라 자연의 거대함과 그 안에서 하루하루를 보내는 인간의 생활상을 담은 KBS 5부작 동아시아 생명대탐사 ‘아무르’의 한 장면.
KBS 제공
KBS 제공
제작진은 아무르강의 행로를 따라간다. 동북아에서 가장 긴 아무르강은 사향노루, 두루미 등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동물들과 대초원, 울창한 숲을 길러낸다. 카메라는 과거 인류의 유목문화를 간직한 유목민들의 모습도 담아냈다.
아무르 지역은 겨울이 춥다. 탱크가 지나갈 정도로 강물이 꽁꽁 얼어붙는다. 아무르 강 지류인 쑹화강변의 차간호에는 2000년간 지속된 전통어업이 있다. 얼음을 뚫고 2㎞에 이르는 그물을 놓아 물고기를 잡는 방식이다. 말 5마리가 연자방아를 돌려 끌어올리는 그물에는 5t에 육박하는 물고기가 담긴다. 차간호 어부는 닥치는 대로 물고기를 잡지 않는다. 어린 물고기는 돌려보내 성장을 기다린다. 자연 의존적 생활양식이 지속되고, 야생과 인간이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는 이유다.
지구상에 500여 마리만 남은 동북아 호랑이는 바로 아무르 지역에 서식하는 ‘아무르 호랑이’다. 30여 마리만 남은 것으로 알려진 표범의 정식 이름도 ‘아무르 표범’이다. 현재 아무르 지역은 지구상에서 가장 존귀한 야생동물을 품은 셈이다.
호랑이와 표범이 생존하는 러시아의 극동 시호테알린 산맥은 한반도 백두대간의 뿌리다. 숲속 원주민으로 살아온 우데게이족은 호랑이를 숭배한다. 가장 위엄 있는 호랑이를 산신으로 모신다. 아무르 호랑이는 왜 산신이 되었을까.
아무르강 지역을 부분적으로 조명한 작품은 있었지만, 강의 전체를 조망한 다큐멘터리는 세계 최초라는 게 제작진의 설명이다. 사회주의 국가의 국경을 가르는 강이어서 촬영 허가를 받는 것이 까다로운 탓에 세계 유수의 방송사들도 엄두를 못 냈던 작업이다. 프로그램 제작에는 1년이 걸렸다. 촬영일수는 약 230일. 제작진은 장대한 자연을 완벽하게 담아내기 위해 각종 수단을 총동원했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4-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