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유산 정보센터 내부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11/SSI_20221211152301_O2.jpg)
산업유산 정보센터 홈페이지
![산업유산 정보센터 내부 모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11/SSI_20221211152301.jpg)
산업유산 정보센터 내부 모습
일본 도쿄 신주쿠구에 있는 ‘산업유산 정보센터’ 내 하시마(군함도)에서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및 가혹행위가 없었다고 주장하는 내용의 전시물이 게시돼 있다.
산업유산 정보센터 홈페이지
산업유산 정보센터 홈페이지
지난 8일 일본 도쿄 신주쿠구에 있는 ‘산업유산 정보센터’에서 한 자원봉사 가이드가 ‘하시마’(군함도)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약 한 시간 동안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이 이뤄진 곳으로 악명이 높았던 이 군함도에 대해 강제동원과 가혹행위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일본은 군함도를 포함해 2015년 근대 산업시설 23곳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했고 한국은 태평양전쟁이 이뤄진 1940년대 군함도에서 조선인 강제동원이 이뤄졌고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이 착취당했다며 반대했다. 일본 정부는 강제동원 피해자를 기리는 적절한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그렇게 해서 2020년 6월 문을 연 게 바로 이 산업유산 정보센터다.
하지만 일본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해 7월 이 센터를 실사한 뒤 일본 정부에 개선을 촉구하는 결정문을 채택했고 지난 1일까지 개선 방침을 담은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일본 정부는 500페이지가 넘는 보고서를 제출했지만 “강제 동원과 가혹한 조건에서의 노역은 없었다”는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찾아가본 산업유산 정보센터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지적한 그 이상으로 일본의 문제는 없었다고 강조하는 자료로 꾸며졌다. 센터는 1~3관으로 이뤄졌는데 1~2관은 일본이 메이지 시대부터 시작해 어떻게 이러한 근대 산업시설을 갖출 수 있게 됐는지 홍보하는 자료로 꾸며졌다.
![산업유산 정보센터 입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11/SSI_20221211152350_O2.jpg)
도쿄 김진아 특파원
![산업유산 정보센터 입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11/SSI_20221211152350.jpg)
산업유산 정보센터 입구
일본 도쿄 신주쿠구에 있는 ‘산업유산 정보센터’ 입구 모습.
도쿄 김진아 특파원
도쿄 김진아 특파원
3관 전시장 끝 부분에는 여러 개의 패널로 화려하게 꾸며진 영상 전시물을 통해 군함도와 과거 사진을 비교해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과거 사진에는 군함도 내 어린이집과 술집, 시장, 약국 등이 있었다는 모습을 보여줬다. 가이드는 “돈이 있으면 누구나 가게에서 장을 보고 일이 끝나면 한 잔 하며 즐길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모든 전시 구성이 사람들이 살기 좋았던 섬이라고 강조하는 데 활용할 뿐이었다.
내년 나가사키를 방문해 군함도 관광을 하고 싶다며 가이드에게 자신을 소개한 한 일본 여성은 “한국에서는 가혹한 노동이 있었다고 하는데 그런 증언은 전시장에 없는 것이냐”라고 물었다. 그러자 가이드는 “피해를 봤다고 하는 사람은 그들만의 주장으로 여기에는 전시된 게 없다”며 “인터넷에서 찾아보는 게 좋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어 ‘군함도, 누가 역사를 조작하고 있는가. 군함도는 지옥도가 아닙니다’라고 적힌 팸플릿을 나눠줬다.
![군함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11/SSI_20221211152603_O2.jpg)
서울신문 DB
![군함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2/11/SSI_20221211152603.jpg)
군함도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및 가혹행위가 있던 군함도(하시마).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유네스코는 아직 일본 정부가 제출한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한국 정부는 보고서가 공개되면 이를 분석해 유감을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지난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일본 정부가 제출한 보고서에 대해 “우리 국민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유네스코에서 보고서를 공개하면 입장을 표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