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연승에 올림픽까지…아베질주 브레이크 뗐다

선거연승에 올림픽까지…아베질주 브레이크 뗐다

입력 2013-09-08 00:00
수정 2013-09-08 1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경화정책 탄력 가능성…주변국과의 관계개선 필요성 의식할수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020년 도쿄의 하계올림픽 유치로 날개를 달았다.

2006∼2007년 사이 1년 만에 끝난 첫 총리 임기 때의 좌절을 딛고 작년 말 재집권한 아베 총리는 모처럼 등장한 ‘돌파형’ 지도자의 이미지를 일본인들에게 심는 데 성공했다. 20년 장기 디플레이션을 거치는 동안 무력감이 누적된 일본에서 무언가 일을 벌린 뒤 과감하게 추진하는 리더십은 아베가 오랜만이었던 것이다.

시중자금을 2년 안에 2배로 푸는 과감한 금융완화를 핵심으로 하는 이른바 아베노믹스(아베 총리의 경제정책)로 국민적 주목을 받는 데 성공한 그의 돌파력은 올림픽 유치라는 중대 결실로 빛을 봤다.

아베 총리는 올림픽 유치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대폭 강화한 것은 물론 지난달 중동·아프리카 방문 등 해외순방 계기에 부지런히 국제사회에 도쿄올림픽 지지를 호소하고 다녔다. 5∼6일(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도중 지구 반대편의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장인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날아가 막판 선거 운동을 벌인 일은 그의 승부욕과 돌파력을 잘 보여줬다.

유치전 막판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방사능 오염수 유출사태라는 대형 악재를 만났지만 ‘올림픽용’이라는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한화 5천억 원대 예산이 투입되는 정부 대책을 발표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 위기를 넘겼다.

이미 작년 12월 중의원 선거와 올 7월 참의원 선거에서 잇달아 압승하며 롱런의 기반을 닦은 아베 총리는 이제 더욱 탄력을 받을 국민적 인기와 지지도를 바탕으로 산적한 현안에서 더욱 과감한 행보를 걸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내달초 결정하기로 한 소비세 인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 등 민감한 경제현안을 풀어나가고, 집단적 자위권 행사, 개헌 등 염원하고 있는 정치·안보 목표를 달성하는데 ‘올림픽 바람’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집단적 자위권과 같은 안보현안에서 아베 총리가 속도전 태세로 나온다면 주변국들과의 긴장지수가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올림픽 유치가 아베 총리는 물론 아베 총리의 정책을 움직일 일본사회 전반의 여론이 보수화, 내향화 흐름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이들도 없지 않다. 올림픽 개최국으로서 한국, 중국 등 주변국과의 긴장 고조를 피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역사인식 문제에 대해 보다 글로벌한 인식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일본 사회에 힘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