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선 항공기 제트 분출구 앞 둥지 튼 황조롱이 새끼 한 쌍

멈춰선 항공기 제트 분출구 앞 둥지 튼 황조롱이 새끼 한 쌍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7-28 12:36
수정 2021-07-28 12: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조롱이 새끼 한 쌍이 둥지를 틀었습니다. 영국 웨일스 베일오브글러모건에 있는 항공기 수리센터에 들어온 에어버스 A320 기종의 제트 분출구 앞이네요. 엔지니어들의 눈에 띄었을 때 며칠이나 굶은 것처럼 보였답니다. 만약 제트 엔진을 점화했더라면 큰일 날뻔 했습니다.

항공기 정비 회사 RSPCA 심루(CYMRU, 웨일스어로 웨일스) 엔지니어들은 곧바로 고베르 조류병원으로 보내 치료를 받게 했답니다. 사이먼 에반스는 “의심할 여지 없이 그 녀석들이 간당간당하게 구출됐다고 본다. 황조롱이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보기 드문데 항공기에서 어떤 동물이든 구조해낸 일은 내게 색다른 경험이었다”고 털어놓았습니다.

황조롱이의 개체 수는 1970년대부터 줄기 시작해 현재 영국에서는 4만 6000마리 정도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전 세계 항공기들과 마찬가지로 이 항공기는 여객기로 활발히 운항하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영향으로 세인트 아탄의 브로더 타탄 비즈니스 파크의 활주로에 일년 가까이 붙박혀 있다가 정비창으로 옮겨졌답니다.

어쩌면 코로나로 인한 멈춤이 이들에게 둥지를 제공한 셈이네요. 그런데 눈썰미 있게 처음 발견한 두 사람의 이름이 우미트 아타스와 루치아노 럭키 페리에라랍니다. 해서 이쌍의 이름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 우미트와 럭키로 정해졌답니다. 이상이 28일 영국 BBC 보도 내용인데 그들의 뒷얘기에도 귀를 기울여야겠네요.

이 녀석들이 매처럼 날렵하고 사냥도 잘한다는 사실은 알고 계시겠죠? 우리나라에서도 텃새이며 최근 들어 아파트나 공원 등 도심에서도 자주 눈에 띕니다. 한국황조롱이는 겨울 철새로 완전히 다른 종인데 보통 구분하기는 쉽지 않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