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한 자녀 폐지에도… 워킹맘 40% “아이 안 낳을 것”

中 한 자녀 폐지에도… 워킹맘 40% “아이 안 낳을 것”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2-21 23:02
수정 2018-02-22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출산율 3.5% 감소…양육비ㆍ경력 개발 등 부담

중국이 2015년 말 36년간 유지하던 한 자녀 정책을 폐기했음에도 지난해 출산율은 오히려 3.5% 감소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한 자녀 정책이 폐기된 첫해인 2016년에는 출산율이 7.9% 상승해 1786만명의 신생아가 태어났지만 이는 중국 정부의 전망치보다는 낮은 수치였다.

중국 공산당은 낙태와 피임을 강요하면서 한 자녀 정책을 폈던 방식으로 출산율을 높이려 하고 있지만 ‘베이비붐’을 낳지는 못하고 있다. 당은 교육받은 도시 한족 여성들인 ‘가오수즈’(高素質) 여성들에게 출산 공세를 집중했다. 24~29세의 대졸 한족 여성들이 주요 대상이다. ‘결혼해서 아기를 낳아도 취업에 지장이 없다’는 식의 논리를 펴고 있지만 여성들에게 별다른 감흥을 일으키지는 못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최대 채용사이트 ‘즈롄자오핀’(智聯招聘)에서 4만명의 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0%는 아이를 낳을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아이가 한 명 있는 여성 가운데 63%는 둘째를 낳을 계획이 없다고 답했는데 그 이유로 시간과 에너지 부족, 양육비와 경력 개발 부담 등을 들었다.

2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잉여여성: 중국 성 불평등의 부활’이란 책으로 유명한 레타 홍 핀처(洪理?)는 ‘중국 여성들은 왜 아이를 낳지 않는가?’란 칼럼에서 “고령화와 노동인력 감소가 정권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 중국 공산당은 출산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이미 2015년 전체 인구의 10%에 도달한 중국의 고학력 중산층에는 출산장려책이 별다른 효과가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현재 중국에선 한 자녀 정책의 적용을 받지 않았던 소수민족 가운데 공산당의 억압에 시달리는 신장 자치구 위구르족의 출산율이 가장 높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2-2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