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면 쿰부 빙하를 빙 둘러 나가 해발 고도 200~400m 아래 쪽으로 지금의 베이스캠프를 이동시키겠다는 것이 네팔 관광당국의 입장이다.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그 뿐아니다. 일년 중 봄과 가을만 등정이 가능한데 봄시즌에만 1500명 정도가 사진에서 보듯 그렇게 넓지 않은 공간에 북적댄다. 등반할 수 있는 좋은 날씨에 일거 몰린다. 하루에 나오는 소변 양만 4000ℓ나 된다니 이것이 또 빙하를 녹이는 촉매가 되기도 한다.
현재 베이스캠프는 해발 5364m에 자리해 있는데 당국은 200~400m 낮아 일년 내내 얼음이 얼지 않는 곳으로 옮길 계획이다. 산악인들은 자고 일어나면 주변에 새로운 크레바스(빙하 틈)가 생긴 것을 발견한다고 입을 모은다.
타라나트 아디카리 네팔 관광청 사무총장은 “현재 위치 조정을 준비 중이며 곧 모든 당사자들과 상의할 것”이라면서 “기본적으로 우리가 베이스캠프에서 목격하고 있는 변화에 적응하는 일이며 등반산업 자체를 지속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실한 일”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전 계획은 에베레스트 지방의 등반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책을 모색한 정부 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8년 영국 리즈대학 연구 결과 쿰부 빙하는 연간 950만㎥ 녹고 있고, 베이스캠프 일대의 얼음 두께는 일년에 1m씩 줄고 있다. 스콧 왓슨은 방송에 “베이스캠프 일대 얼음이 줄어드는 속도는 빙하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급격하게 진행된다. 자잘한 돌들과 파편들이 많아서 그렇다”고 털어놓았다.
베이스캠프 오른쪽을 흐르는 개천도 해가 갈수록 넓어지고 있다. 산악인들은 자고 나면 텐트 주변에 새로운 크레바스(빙하 틈)가 생겨난다고 입을 모은다. 잠자다 밑이 푹 꺼져 떨어졌을 수도 있겠다 싶어 소름끼친 경험도 있다고 했다. 2020년과 이듬해 사이에 캠프 끝에는 호수가 생겼다. 산 쪽에서 얼음이 움직이거나 돌이 떨어져 내는 굉음도 훨씬 커지고 빈번해졌다. 산사태 위험도 증가한다. 해서 이제는 텐트를 치기 전에 바닥 아래 단단한 바위가 버티고 있는지 꼼꼼이 확인한다고 했다.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 아래 쪽에 2020년과 이듬해 사이에 생겨났다는 호수.
월드 블로그 챌리지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재인용
월드 블로그 챌리지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재인용
이렇게 베이스캠프를 아래 쪽으로 옮기면 등반대들은 캠프1까지의 이동 거리가 늘어 불편할 수 있다. 에베레스트를 등정하는 루트 가운데 네팔 쪽으로만 오르는 이들이 많았는데 갈수록 중국 티베트 쪽으로 오르는 이들이 늘고는 있다.
현재 베이스캠프를 앞으로도 3~4년은 더 써야 할 것 같다는 것이 산악인들의 반응인데, 정부 관리들은 어쩌면 2년 뒤에는 새 베이스캠프를 이용해야 할 수도 있다고 했다. 여하튼 산악인들은 현재 위치를 더 좋아할 것이 빤해서 모든 당사자들과 원활히 토의한 뒤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아디카리는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