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행정명령…부통령 23만3천弗, 대법원장 25만5천500弗
미국 연방정부 공무원들의 임금이 4년만에 처음으로 오른다.28일(현지시간) 연방 인사관리처(OPM)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 23일 조 바이든 부통령을 비롯한 연방공무원 약 210만명의 임금을 1% 인상하는 것을 주내용으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로써 지난 2010년 1월 이후 무려 4년간 동결됐던 연방공무원들의 월급이 다음달부터 소폭이나마 오르게 됐다. 그러나 연방의회 의원들에 대해서는 인상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번 행정명령은 지난 10월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중단 및 국가디폴트(채무불이행) 차단을 위한 여야 합의안에 연방공무원 급여 인상안이 포함된데 따른 것이다.
다음달 1일 이후 적용되는 주요 직책별 연봉은 ▲부통령 23만3천달러 ▲대법원장 25만5천500달러 ▲하원의장 22만3천500달러 ▲상·하원 원내대표 19만3천400달러 ▲상·하원 의원 17만4천달러 ▲대법관 24만4천400달러 등이다.
일반 공무원들은 직급별, 직책별로 정해진 기본급에서 인상률이 적용되고, 일부 직급은 최고·최저 한도가 있다.
바버라 미컬스키(민주·메릴랜드) 상원의원은 성명에서 “오랜 연기 끝에 소폭이나마 연방공무원의 임금이 오른 것은 이들의 가치를 평가하는 조치”라면서 “연방공무원들은 더이상 재정적자 감축의 희생양이 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전·현직 연방공무원협회(NARFE)의 조지프 뷰도인 회장은 “이번 행정명령은 열심히 일하는 중산층 연방공무원들에게 절실한 조치”라고 환영했다.
이와 관련, 워싱턴타임스(WT)는 지난 24일 크리스마스 전날 연방공무원들이 예년과는 달리 정상적으로 출근한 것은 이번 임금 인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4년간 연방공무원들의 기본급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각종 수당으로 실제 수령액은 계속 올랐다고 전했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의 연봉은 업무상 비용 5만달러를 제외하고 40만달러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별도의 법률에 따라 정해지는 미국 대통령 연봉은 지난 2001년 1월 이후 변하지 않았다.
미국 대통령의 연봉은 지난 1789년 1대 의회에서 2만5천달러로 정해진 뒤 1893년(5만달러), 1909년(7만5천달러), 1949년(10만달러), 1969년(20만달러) 등으로 계속 올랐다.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인 1999년 106대 의회가 현재 수준인 40만달러로 올린 뒤 15개월만에 실제 적용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