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美·러 전현 고위직 인터뷰
전쟁 교착, 우크라 반격 진전 없어푸틴 ‘지금이 휴전 최적 시기’ 판단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25/SSC_2023122500572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25/SSC_20231225005720.jpg)
NYT는 크렘린과 가까운 2명의 러시아 전직 고위 관료를 비롯해 미국 및 국제 고위직 인사를 인터뷰한 내용을 토대로 이렇게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공개 석상에서 호전적인 수사를 지속한 것과 달리 실제 푸틴 대통령의 본심은 우크라이나 영토 일부를 확보한 것에 만족하며 승리 선언을 한 후 전쟁을 끝내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크렘린은 지난 9월부터 복수의 외교 채널을 통해 이런 신호를 보냈고, 푸틴 대통령은 이미 지난해 가을부터 줄곧 휴전 협상 가능성을 타진해 왔다.
최근 크렘린의 메시지는 이런 움직임이 재개된 것으로 풀이된다. 올가을 러시아 최고위 관료를 만났다는 한 국제 관료는 “러시아는 ‘우린 휴전 협상을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한다”며 “그들은 현재 점령지에 그대로 남아 있길 원한다”고 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최근 푸틴 대통령에게 보고한 내용을 보면 특별군사작전 이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에 친러시아 반군이 설립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보다 5배 이상 많은 지역을 획득했다.
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진 데다 우크라이나의 반격 시도가 진전을 보이지 못해 여론이 악화했고, 서방의 지원 의지도 이전처럼 강하지 않다. 여러 정황을 볼 때 푸틴 대통령이 지금이 휴전할 최적의 시기라고 판단한다는 게 전현직 관료들의 전언이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 대변인은 “기존 연설 내용대로 푸틴 대통령은 실제로 대화할 준비가 돼 있고 그렇게 말해 왔다”며 “러시아는 대화 준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겠지만 우리의 목표 달성을 위할 때에 한해서만 그렇다”고 밝혔다.
그러나 우크라이나는 영토를 넘겨주는 것을 전제로 한 휴전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러시아의 점령지 철수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평화 공식’ 제정을 목표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3-12-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