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6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2023 한반도국제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7/SSC_20231107173744_O2.jpg)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6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2023 한반도국제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7/SSC_20231107173744.jpg)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6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2023 한반도국제포럼’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이날 미 워싱턴DC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한국 통일부, 고려대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와 공동 주최한 ‘2023 한반도국제포럼’에 참석해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견해를 두루 밝혔다.
터너 특사는 “국내외에서 이뤄지는 북한 노동자의 강제 노동은 북한 정부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무기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수입 창출에 핵심 역할을 한다”며 “해외의 북한 노동자들은 건설, 서비스업, 정보기술 등 분야에서 열악한 환경과 감시 아래 하루 18시간 이상의 노동을 강요당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급여의 90%는 북한 정부로 넘어간다”고 덧붙였다.
포럼에 앞서 국무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그는 “유사한 입장을 가진 파트너·동맹과 협력하고 탈북민 목소리에 힘을 싣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한편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고영환 통일부 특보가 대독한 포럼 기조연설에서 “탈북민의 자유의사에 반하는 강제 북송이 이뤄져서는 안 된다”며 “한국 입국을 원하는 탈북민 전원을 수용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한국 정부는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기본 입장과 함께 대화·협력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 번영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