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800배 압력 견뎌”…日해저 8336m 심해어 ‘이렇게’ 생겼다

“해수면 800배 압력 견뎌”…日해저 8336m 심해어 ‘이렇게’ 생겼다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04-03 17:12
수정 2023-04-03 17: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오가사와라 해구 7500m~8200m 아래서 발견된 꼼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홈페이지 캡처
오가사와라 해구 7500m~8200m 아래서 발견된 꼼치.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홈페이지 캡처
일본 해저 8336m에서 심해어가 촬영돼 가장 깊은 바닷속에서 발견된 물고기로 기록됐다.

2일(현지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앨런 제이미슨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교수 연구진은 일본 남부 이즈-오가사와라 해구 8336m 깊이에서 꼼치류의 일종인 슈돌리파리스 벨예비(Pseudoliparis belyaevi)가 헤엄치는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다.

기존 기록은 2017년 마리아나 해구 8178m 깊이에서 발견된 심해어다. 이번에는 그보다 약 158m 더 깊은 곳에서 심해어가 포착된 것이다.

연구진은 해당 심해어를 포획하지는 못했으나 8022m 깊이에서 다른 표본을 확보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 정도 깊이에서 물고기를 잡아 올린 것 역시 이번이 처음이다.

꼼치의 종류는 300여종이다. 주로 얕은 물 속에서 서식하며 강어귀에서도 흔히 관찰된다. 하지만 그중 일부는 북극이나 남극 등 찬 바닷물 또는 매우 깊은 해구에 적응해 생활하기도 한다.

꼼치의 몸은 젤리 같은 형태를 띤다. 깊이가 8000m에 이르면 해수면 800배 수준의 압력을 견뎌야 하는데 꼼치의 몸 형태는 이러한 압력을 이겨내는데 용이하다.

또한 다른 물고기와 달리 부레가 없고 먹이로 초소형 갑각류를 빨아들이는 사냥 방식 등도 심해에서의 생존을 돕는다.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된 꼼치가 물고기가 생존할 수 있는 최대 깊이에 근접했거나 혹은 이미 도달했다고 보고 있다. 앨런 제이미슨 교수는 “이 기록이 만약 깨진다고 하더라도 단지 몇 m 정도의 차이에 불과할 것”이라고 BBC에 밝혔다.

제이미슨 교수는 이번 발견이 따뜻한 수온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이미슨 교수는 민더루-UMA 심해연구센터 설립자로 이번 연구는 도쿄해양대 연구진과의 협업을 통해 작년 9월부터 진행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