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9/SSC_20230319161433_O2.jpg)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9/SSC_20230319161433.jpg)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서울신문 DB
19일 중국 관영매체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8594억 달러(약 1122조원)로 지난해 12월 대비 77억 달러 줄어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중국이 미 국채를 대거 매입한 2010년 6월 이후 12년여 사이 최소치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연준의 고강도 통화긴축 기조로 채권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현재 중국은 미 국채를 팔고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다. 지난달 기준 6592만 온스로 1월(6512만 온스)보다 1.2% 증가했다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밝혔다.
물론 미 국채 매도가 중국만의 현상은 아니다. 1월 기준 외국의 미 국채 보유 총액은 7조 4000억 달러로 전년 동기(7조 6600억 달러) 대비 3.4% 감소했다.
그러나 중국의 미 국채 매도에는 전략적 의미가 담겨 있다는 평가다. ‘탈달러’에 시동을 거는 동시에 ‘달러 패권’에 도전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는 것이다. 중앙재경대 증권선물연구소 양하이핑 연구원은 “미 정부 부채가 늘어나고 지정학적 긴장이 이어지고 있다. 미 국채 보유량을 줄이는 것은 중국의 안정적 외환 보유를 위한 필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