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미국 대선을 목전에 둔 공화·민주당 후보들이 1일 각기 경합주를 찾아 마지막 한 표를 호소했다. 재선에 도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조지아주 롬의 유세장에서 열린 드라이브인 집회에서 지지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롬 AFP 연합뉴스
롬 AFP 연합뉴스
AP통신과 CNN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0시(한국시간 오후 2시) 딕스빌 노치, 밀스필드 등 2곳에서 16표를 얻어 10표의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를 6표 차로 앞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밀스필드에서 16표 대 5표로 이겼지만, 딕스빌 노치에선 바이든 후보가 5표 모두를 가져갔다.
뉴햄프셔주는 주민 100명 미만의 지자체의 경우 자정에 투표를 시작해 결과를 곧바로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갖고 있다.
해당 규정에 따라 딕스빌 노치와 하츠 로케이션, 밀스필드 등 3곳이 자정 투표를 일종의 전통처럼 지켜왔지만, 올해의 경우 하츠 로케이션은 제외됐다.
딕스빌 노치는 존 F. 케네디 민주당 후보와 리처드 닉슨 공화당 후보가 맞붙은 1960년부터 60년간 대선의 첫 테이프를 끊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딕스빌 노치는 1968년, 2008년, 2016년 등 세 차례 민주당 후보가 승리하고 2012년 공화당과 민주당 후보가 동률을 이룬 것을 제외하면 모두 공화당 후보가 이겼다.
3일(현지시간) 미국 대선을 목전에 둔 공화·민주당 후보들이 1일 각기 경합주를 찾아 마지막 한 표를 호소했다.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가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드라이브인 집회에서 지지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필라델피아 로이터 연합뉴스
필라델피아 로이터 연합뉴스
이날 밀스필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기 위해 기표소 수를 줄인 것으로 전해졌다. 밀스필드에는 공화당 지지라고 등록한 유권자가 16명 있고 민주당 지지층과 무당파라고 등록한 유권자가 각각 3명 있지만, 이날 투표에는 21명이 참여했다.
유권자가 48명인 하츠 로케이션은 1948년 첫 투표를 하는 곳으로 유명했으나 1960년 지나친 언론 노출을 이유로 중단했다가 1996년부터 다시 자정투표 행렬에 가세했다. 그러나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탓에 자정투표 대신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투표를 진행키로 했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