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대 나라 약속 지켜지지 않으면 교제 못해”
NHK TV토론 출연…기존 입장 변화 없이 되풀이![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5일간의 중동 순방을 위해 11일 일본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출국하기 전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0.1.11.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1/12/SSI_20200112114336_O2.jpg)
AF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5일간의 중동 순방을 위해 11일 일본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출국하기 전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0.1.11.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1/12/SSI_20200112114336.jpg)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5일간의 중동 순방을 위해 11일 일본 도쿄 하네다 공항에서 출국하기 전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0.1.11.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아베 총리는 사전 녹화를 거쳐 12일 오전 방송된 NHK의 프로그램 ‘일요토론’에서 “그런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약속 속에서 일한(한일) 관계를 쌓아왔다. 일한(관계)의 기초인 일한 기본조약과 청구권 협정을 확실히 우선 지키라고 강하게 요구하고 싶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베 총리는 “청구권 협정이 지켜지지 않는, 국가 간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상황을 확실히 바꾸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나라 대 나라로 교제함에 있어서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교제할 수 없으니 그런 계기를 확실히 만들어 달라고 강하게 요구하고 싶으며, 앞서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그것을 말씀드렸다”고 덧붙였다.
아베 총리의 이날 발언은 강제동원 문제가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65년 체결한 한일 청구권 협정 등에 따라 완전히 해결됐기 때문에 일본 기업이 한국인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배상할 책임이 없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가 24일(현지시간) 중국 쓰촨성 청두 세기성 샹그릴라호텔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19.12.24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24/SSI_20191224161603_O2.jpg)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가 24일(현지시간) 중국 쓰촨성 청두 세기성 샹그릴라호텔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19.12.24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2/24/SSI_20191224161603.jpg)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일본 총리가 24일(현지시간) 중국 쓰촨성 청두 세기성 샹그릴라호텔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19.12.24
연합뉴스
연합뉴스
아베 총리는 12일 방송에서 “문제가 있기 때문에 더욱 대화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나는 일한 관계를 어떻게든 개선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한일 관계에 대한 방침을 함께 밝혔다.
그는 북일 관계와 관련해서는 “납치·핵·미사일 등 여러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고 불행한 과거 문제를 청산해 일조(북일)관계를 정상화한다는 (북일)평양선언(2002년 9월)에 따른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독자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면서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조건 김정은 위원장을 마주 대할 결의(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