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환경단체 “연구 핑계 고래 333마리 사냥” 일본 성토

호주 환경단체 “연구 핑계 고래 333마리 사냥” 일본 성토

입력 2016-03-26 10:33
수정 2016-03-26 10: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극해서 115일간 하루 3마리꼴 잡아…“호주정부 방치” 비난

일본이 최근 남극해에서 333마리의 밍크고래를 잡은 것으로 밝혀져 호주와 뉴질랜드의 해양환경 보호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4일 연구 목적으로 지난해 12월 초 남극해로 떠났던 포경선 4척이 돌아왔다며 이들은 업무 수행과정에서 333마리의 고래를 잡았다고 밝혔다. 죽은 고래들 사이에는 새끼를 밴 고래 200마리도 포함됐다.

이들 포경선은 일본경류연구소(日本鯨類硏究所) 소속으로, 이 연구소는 민간단체이지만 일본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일간 가디언 호주판이 26일 보도했다.

일본은 2014년 3월 연구를 구실로 한 고래잡이를 중단해야 한다는 국제사법재판소(ICJ)의 판결이 나오자 잠시 고래잡이를 중단하다가 지난해 12월 1일 재개했다.

115일의 일정동안 하루 3마리꼴로 고래를 잡았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해양환경 보존단체 ‘시 셰퍼드’의 호주와 뉴질랜드 지회, 호주 녹색당 등은 자신들의 정부가 일본의 불법적인 고래잡이를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시 셰퍼드 뉴질랜드 지회 책임자인 마이클 로리는 일본이 주요 무역 상대국이라는 점에서 주요국들이 포경을 방관하고 있다며 일본이 아닌 타국 어선이 그러한 일을 한다면 그냥 넘기지 않았을 것이라고 뉴질랜드 헤럴드에 말했다.

호주해양보존회(AMCS) 대런 킨들리사이드스 회장도 주요 전문가들을 상대로 알아본 결과 일본이 올해 새로 내세운 과학 프로그램은 고래 죽이기를 가장한 것으로 국제법 위반이라는 결론이 나왔다며 호주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호주 정부는 지난해 12월 일본의 포경 재개 결정이 나오자 “매우 실망스럽다”며 순찰선박을 남극해로 보내 법적 조처를 취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호주 정부는 일본의 포경 재개 후 남극해에서 어떤 내용의 감시활동이 이뤄졌는지를 밝히라는 환경단체 등의 요구에는 확인을 거부하고 있다.

가디언은 일본 정부가 상업 포경 재개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고래 개체 수를 조사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미 일본에는 학교 급식에 제공될 정도로 고래고기가 넘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일부 전문가들의 주장이라며 일본은 소수의 영향력 있는 정치인들 때문에 고래잡이를 포기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상업적 목적의 포경은 1986년 금지됐지만, 연구 목적의 포경은 허용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