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최고 중국전문가의 실망스러운 북한 경시
24일 오후 4시(현지시간) 워싱턴DC 유수 싱크탱크인 우드로윌슨센터 대강당. 200여명이 넘는 사람들로 발 딛을 틈이 없었다. 미국 내 최고 권위의 중국 전문가로 평가 받는 데이비드 샴보 조지워싱턴대 교수의 신간 서적 ‘중국의 미래’(CHINA’S FUTURE) 발표회에 워싱턴에서 내노라하는 중국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이다.미국 내 손꼽히는 중국 전문가인 데이비드 샴보(왼쪽) 조지워싱턴대 교수가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우드로윌슨센터에서 자신의 신간 ‘중국의 미래’에 대한 발표회를 갖고 있다.
질의응답은 책 사인회를 해야 한다며 길지 않게 이뤄졌다. 중국을 연구하는 싱크탱크 전문가들과 학계 관계자들은 중국의 영향력에 대한 전망 등 질문을 쏟아냈다. 미국과 함께 ‘주요 2개국’(G2)으로 불리는 중국이 앞으로 미국을 얼마나 위협할 것인지, 미·중 관계는 과연 어떻게 펼쳐질 것인지 등에 대한 두려움이 묻어났다. 그러나 중국과 다른 나라와의 관계, 특히 북한 등 주변국과의 관계에 대한 질문은 하나도 없었다. 기자는 질문을 하기 위해 손을 들고 있었으나 저명한 중국 전문가들과 샴보 교수 대학 관계자 등에게만 질문할 기회가 주어졌다.
기자는 질의응답이 끝난 뒤 재빨리 책을 구입해 샴보 교수의 사인을 받으려는 긴 줄에 들어가 섰다. 기자의 순서가 돼 소개를 한 뒤 북·중 관계에 대한 질문 3개를 던졌다. “북한과 중국의 현 관계는 어떻다고 보느냐”에 대한 질문에 “좋지 않다(not good)”라는 짧은 대답이 돌아왔다. “그럼 앞으로 북·중 관계는 어떻게 전망하느냐, 유엔 안보리가 대북 제재 결의안에 중국도 동참했는데 이는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는 난색을 표하며 “별로 생각해 보지 않았다. 잘 모르겠다. 특히 유엔 건은 내 분야가 아니다”라는 무관심하게 반응했다. 기자가 마지막으로 “나중에 시간이 되면 인터뷰를 별도로 부탁해도 되겠느냐”고 물었더니 샴보 교수는 “시간이 될 지 모르겠다. 특히 북·중 관계에 대해서는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며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다. 사인을 받은 뒤 씁쓸히 돌아서면서 ‘샴보 교수가 과연 중국 및 아시아 전문가가 맞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행사장을 나서는 길에 만난 다른 싱크탱크 관계자는 “미국 내 저명한 중국 전문가들에게 북한은 큰 이슈가 아니다”고 귀뜸했다.
글 사진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