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의 신용등급 전망이 지난해 중반부터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다고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7일 밝혔다.
CNBC의 보도에 따르면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난 연말 현재 131개 평가 대상국 중 ‘부정적 전망’이 적용된 국가는 25개국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6월 초순의 17개국과 비교하면 8개국이 늘어난 것이다.
모리츠 크레이머 S&P 수석 국가신용등급 담당관은 반기를 기준으로 따지면 부정적 전망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일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부정적 전망’은 향후 해당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될 소지가 있음을 뜻하며 따라서 투자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S&P는 이와 관련해 올해 중에는 국가 신용등급을 상향하는 경우보다 하향하는 회수가 더 많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에 따르면 부정적 전망 건수는 2008년 상반기부터 긍정적 전망을 웃돌았으며 2013년부터는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이와 함께 131개국의 등급 평균도 2008년에는 “BBB+” 바로 밑이었으나 지난 연말 현재는 “BBB-”와 ‘BBB’ 사이로 한 단계 내려왔다고 덧붙였다. 이는 투기등급이나 정크 본드 등급을 웃도는 것이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는 아시아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부정적 전망이 늘어났으며 특히 중동과 옛 독립국가연합(CIS), 아프리카에서 현저했다고 말했다.
민트 파트너스의 채권 중개인인 빌 블레인은 이에 대해 중등과 아프리카 채권 투자자들에게는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논평했다고 CNBC는 전했다.
연합뉴스
CNBC의 보도에 따르면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난 연말 현재 131개 평가 대상국 중 ‘부정적 전망’이 적용된 국가는 25개국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6월 초순의 17개국과 비교하면 8개국이 늘어난 것이다.
모리츠 크레이머 S&P 수석 국가신용등급 담당관은 반기를 기준으로 따지면 부정적 전망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일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부정적 전망’은 향후 해당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될 소지가 있음을 뜻하며 따라서 투자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S&P는 이와 관련해 올해 중에는 국가 신용등급을 상향하는 경우보다 하향하는 회수가 더 많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에 따르면 부정적 전망 건수는 2008년 상반기부터 긍정적 전망을 웃돌았으며 2013년부터는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이와 함께 131개국의 등급 평균도 2008년에는 “BBB+” 바로 밑이었으나 지난 연말 현재는 “BBB-”와 ‘BBB’ 사이로 한 단계 내려왔다고 덧붙였다. 이는 투기등급이나 정크 본드 등급을 웃도는 것이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는 아시아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부정적 전망이 늘어났으며 특히 중동과 옛 독립국가연합(CIS), 아프리카에서 현저했다고 말했다.
민트 파트너스의 채권 중개인인 빌 블레인은 이에 대해 중등과 아프리카 채권 투자자들에게는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논평했다고 CNBC는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