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비만이면 신장 기능 나빠진다”

“복부비만이면 신장 기능 나빠진다”

입력 2013-04-12 00:00
수정 2013-04-12 09: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부비만이면 신장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 의과대학 신장전문의 데이드라 크루스 박사는 복부비만인 사람은 신장혈관의 혈압이 높아져 신장의 혈액여과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1일 보도했다.

남녀 315명을 대상으로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 waist-to-hip ratio)과 신장혈관 혈압을 측정한 결과 WHR이 높은 사람일수록 신장혈관 혈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크루스 박사는 밝혔다.

WHR은 허리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수치로 여성은 0.85, 남성은 0.9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간주된다.

신장혈관 혈압이 높으면 시간이 가면서 혈액을 걸러내는 신장의 사구체(絲球體) 기능이 약해져 신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WHR이 1포인트 올라갈 때마다 사구체로 흘러들어가는 혈액량은 분당 약4㎖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크루스 박사는 밝혔다.

이는 나이를 먹으면서 사구체 여과율이 매년 약1㎖씩 줄어드는 것에 비하면 적지 않은 것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사구체란 신장에서 혈액을 걸러내는 기본단위인 모세혈관 덩어리로 이루어진 조직을 말한다.

크루스 박사는 WHR과 신장기능 사이의 연관성은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없어 건강해 보이는 사람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면서 신장에 문제가 생기지 않으려면 WHR을 정상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신장병학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온라인판(4월11일자)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