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정부가 이란 주재 자국 대사관을 폐쇄해 사실상 이란과의 외교 단절을 선언했다. 유럽연합(EU)도 이란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준비하는 등 이란을 겨냥한 국제사회의 압박이 강도를 더하고 있다.
존 베어드 캐나다 외무장관은 지난 7일(현지시간) “시리아 정권에 군사 지원을 하고 핵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이란 정부는 세계 평화와 안보를 심각히 위협하는 존재”라면서 이란 주재 캐나다 대사관을 폐쇄했다고 독일 DPA통신이 보도했다. 베어드 외무장관은 자국 내 이란 외교관들도 5일 이내로 추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캐나다 정부가 갑자기 이와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된 정확한 이유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캐나다의 외교 단절 선언에 대해 라민 메흐만파라스트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8일 “캐나다 정부는 이스라엘을 위해 자국의 이해 관계를 희생한 극단주의적인 정부”라고 비판했다고 이란 관영통신 ISNA가 보도했다. 이란 정부는 조만간 캐나다의 이번 결정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캐나다의 이 같은 조치가 발표된 같은 날 키프로스에서 열린 EU 외무장관회의에서 프랑스와 독일 외무장관은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란에 대한 새로운 제재는 금융, 상업, 석유 분야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새 제재는 오는 18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 맞춰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귀도 베스터벨레 독일 외무장관 역시 이란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지금까지의 협상에서 아무런 진전이 없었던 것을 지적하며 “다음 달 15일 EU가 이란에 대한 새 제재 조치를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EU는 이미 지난 7월 1일 이란의 핵프로그램 개발 중단을 압박하기 위해 이란산 석유에 대한 거래 금지 조치를 취한 바 있다. 그러나 유엔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로 구성된 이른바 P5+1과 이란이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한 핵협상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서방 국가들은 이란에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조희선기자 hsncho@seoul.co.kr
존 베어드 캐나다 외무장관은 지난 7일(현지시간) “시리아 정권에 군사 지원을 하고 핵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이란 정부는 세계 평화와 안보를 심각히 위협하는 존재”라면서 이란 주재 캐나다 대사관을 폐쇄했다고 독일 DPA통신이 보도했다. 베어드 외무장관은 자국 내 이란 외교관들도 5일 이내로 추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캐나다 정부가 갑자기 이와 같은 결정을 내리게 된 정확한 이유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캐나다의 외교 단절 선언에 대해 라민 메흐만파라스트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8일 “캐나다 정부는 이스라엘을 위해 자국의 이해 관계를 희생한 극단주의적인 정부”라고 비판했다고 이란 관영통신 ISNA가 보도했다. 이란 정부는 조만간 캐나다의 이번 결정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캐나다의 이 같은 조치가 발표된 같은 날 키프로스에서 열린 EU 외무장관회의에서 프랑스와 독일 외무장관은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란에 대한 새로운 제재는 금융, 상업, 석유 분야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새 제재는 오는 18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 맞춰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귀도 베스터벨레 독일 외무장관 역시 이란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지금까지의 협상에서 아무런 진전이 없었던 것을 지적하며 “다음 달 15일 EU가 이란에 대한 새 제재 조치를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EU는 이미 지난 7월 1일 이란의 핵프로그램 개발 중단을 압박하기 위해 이란산 석유에 대한 거래 금지 조치를 취한 바 있다. 그러나 유엔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로 구성된 이른바 P5+1과 이란이 여러 차례에 걸쳐 진행한 핵협상이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서방 국가들은 이란에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조희선기자 hsncho@seoul.co.kr
2012-09-10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