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커스 현장 가보니
3일 저녁 7시(현지시간) 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의 ‘라이트 초등학교’ 강당. 어두운 밤길에 찬 겨울바람을 가르며 한적한 동네의 주민들이 하나둘씩 들어섰다. 공화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해 코커스(당원대회) 투표에 나선 이 지역 공화당원들이었다.이들은 진행요원들에게 신분증을 제시한 뒤 투표용지 하나씩을 들고 자리에 앉았다. 60여명 참석자의 대부분이 가족 단위였으며, 산책을 나온 듯 편안한 표정이었다. 일부 후보의 선거운동원들이 당원들 사이를 돌아다니며 막판 지지를 호소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전체적으로 살벌한 투표 현장이라기보다는 마을 반상회나 초등학교 반장선거 같은 분위기였다.
올해로 네 번째 코커스 투표에 참여한다는 제프 하퍼(48)는 “퇴근 후 집에 들르지 않고 아내와 외식을 한 뒤 이곳에 왔다.”면서 “릭 샌토럼 전 상원의원과 릭 페리 텍사스 주지사 중 누구를 찍을지 아직 마음을 못 정했다.”고 말했다. 투표 진행을 책임진 휴이스 올슨 이 지역 공화당 의장은 “각 후보에 대한 지지 발언 기회를 후보당 1명씩에게 부여한다.”면서 “이어 비밀투표와 개표를 거쳐 그 결과를 아이오와주 공화당 본부에 전화로 보고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가족단위 삼삼오오 투표 참여
라이트 초등학교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는 링컨 아카데미 강당에서도 100여명의 당원이 참석한 가운데 코커스 투표가 진행되고 있었다. 역시 아이오와주 전체 1700여개 선거구 중 한 곳이었다. 이곳에서는 샌토럼 전 의원에 대한 지지 발언에 나선 50대 중년 여성이 쭈뼛거리며 일어난 뒤 “사실 무슨 말을 할지 준비해 온 것은 아닌데….”라면서 소박하게 의견을 피력, 풀뿌리 민주주의의 진수를 실감케 했다. 참석자들이 각자 투표용지에 지지 후보의 이름을 적어 낸 뒤 강당 한쪽에서 개표가 진행됐다. 개표는 일부 후보의 지지자 두어 명이 참관했다. 이윽고 의장이 개표 결과를 발표하자 참석자들은 담담한 표정으로 받아들였다. 이 모든 과정이 30여분 만에 끝났다.
●투·개표 감시 느슨… 신뢰는 높아
불법·탈법선거에 대한 의심이 체질화된 한국 기자 입장에서는 투·개표에 대한 감시가 헐렁해 보이고, 전화로 투표 결과를 보고하는 과정에서 부정이 개입될 소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으나, 참석자들의 얼굴에선 그 어떤 불신도 읽히지 않았다. 민주적 절차에 대한 단단한 신뢰가 있기에 코커스라는 미국식 민주주의가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디모인(아이오와)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01-0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