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세상’이 되면서 중국에서 구걸 전용 인터넷 사이트가 등장,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해 구걸하거나 돈을 빌리려는 전용 사이트들이 잇달아 개설돼 방문객들을 상대로 구걸에 나서고 있다고 화상망(華商網)이 6일 보도했다.
사이트를 개설한 ‘사이버 거지’들이 요구하는 금액은 기껏해야 1 위안(165 원)으로 애교로 봐줄 수 있는 수준이다.
이들이 구걸이나 돈을 빌리고자 내세우는 사연도 갖가지다.
시작만 하면 곧 큰돈을 벌 수 있는 좋은 아이템이 있어 창업을 하려는 데 자본금이 없다며 손을 내미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결혼을 앞두고 있으니 신혼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인터넷을 통해 주택 계약금을 모을 수 있는지를 두고 친구와 내기를 했다며 자신이 이길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사연도 있다.
상당수 사이트는 젊은이들이 재미 삼아 개설한 것으로 보이지만 누리꾼들의 동정심을 유발, 힘들이지 않고 돈을 챙기려는 의도로 개설한 전문 구걸 사이트도 적지 않아 보인다고 화상망은 전했다.
누리꾼들은 “요구하는 액수는 적지만 13억 인구가 호기심 삼아 적선한다면 결코 만만치 않은 돈이 될 것”이라며 “불로소득을 노리는 자들에게는 어떠한 동정과 관심도 보여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연합뉴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해 구걸하거나 돈을 빌리려는 전용 사이트들이 잇달아 개설돼 방문객들을 상대로 구걸에 나서고 있다고 화상망(華商網)이 6일 보도했다.
사이트를 개설한 ‘사이버 거지’들이 요구하는 금액은 기껏해야 1 위안(165 원)으로 애교로 봐줄 수 있는 수준이다.
이들이 구걸이나 돈을 빌리고자 내세우는 사연도 갖가지다.
시작만 하면 곧 큰돈을 벌 수 있는 좋은 아이템이 있어 창업을 하려는 데 자본금이 없다며 손을 내미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결혼을 앞두고 있으니 신혼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인터넷을 통해 주택 계약금을 모을 수 있는지를 두고 친구와 내기를 했다며 자신이 이길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사연도 있다.
상당수 사이트는 젊은이들이 재미 삼아 개설한 것으로 보이지만 누리꾼들의 동정심을 유발, 힘들이지 않고 돈을 챙기려는 의도로 개설한 전문 구걸 사이트도 적지 않아 보인다고 화상망은 전했다.
누리꾼들은 “요구하는 액수는 적지만 13억 인구가 호기심 삼아 적선한다면 결코 만만치 않은 돈이 될 것”이라며 “불로소득을 노리는 자들에게는 어떠한 동정과 관심도 보여서는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