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억달러에 달하는 143.8t 자국내 보유
국제사회가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자금줄을 끊기 위해 자산 동결을 비롯한 다수의 제재 조치를 가했지만, 궁지에 몰린 카다피는 여전히 엄청난 양의 금을 갖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넷판이 21일 전했다.국제통화기금(IMF)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카다피가 장악한 리비아 중앙은행은 금 143.8t을 보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실제 금 보유량이 더 많을 수 있다는 추정을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금 보유고는 규모면에서 세계 25위에 해당하며, 현 시가로 65억 달러를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수개월 혹은 최대 수년간 소규모 용병 부대에 급료를 지급할 수 있는 액수다.
대부분 나라의 중앙은행이 런던, 뉴욕, 스위스 등지의 금고에 금을 보관하고 있지만 리비아의 경우 금괴를 자국 내에 보관하고 있다고 리비아 금 시장에 정통한 소식통들이 전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리비아 자산 수십억 달러를 동결했고, 리비아 중앙은행과 국부펀드, 국영 석유회사 등에도 제재 조치를 가했다.
하지만 만약 카다피가 중앙은행이 보유한 금을 팔 수 있다면 이는 그에게 생명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FT는 지적했다.
은행업계 관계자들은 카다피가 거금을 마련하려면 금괴를 리비아 밖으로 반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비아 사태가 터지기 전 금은 수도 트리폴리의 중앙은행에 보관돼 있었지만, 이후 차드나 니제르와 가까운 남부도시 세바 등지로 옮겨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어떤 국제 은행이나 무역회사도 조금이라도 리비아 체제와 연관된 금은 매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은행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하지만 카다피는 금을 차드나 니제르로 반출해 이를 화폐로 교환, 리비아 중앙은행의 지점인 리비아 외환은행이 소유한 은행에 송금되도록 할 수 있다고 FT는 지적했다.
스탠더드 뱅크의 월터 드 웨트는 “리비아 같은 국가가 금을 유동화하길 원한다면 아마도 그것을 무기든, 식량이든, 혹은 화폐로 바꾸든 간에 교환의 형태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다피는 금괴 외에도 공식적인 채널을 거치지 않은 석유 판매를 통해 현금을 축적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FT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