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보다 더 힘든 건 한국발 헛소문”

“지진보다 더 힘든 건 한국발 헛소문”

입력 2011-03-14 00:00
수정 2011-03-14 1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사람들은 위기에 침착하게 대응하는데 한국 인터넷에 오히려 헛소문이 너무 많이 떠도는 게 문제예요”

일본 미야기(宮城)현의 센다이(仙臺)시 아오바(靑葉)구의 한국 총영사관 강당에서 12일부터 사흘째 숙식을 해결한다는 교민 A씨(30대.주부)는 14일 오전 연합뉴스 기자에게 이같은 불만을 털어놓았다.

영사관에서 멀지 않은 아파트 2층에 산다는 A씨는 지진이 처음 난 11일 집에 머물다가 12일 오전 초등학교 5학년과 2학년인 두 아이를 데리고 영사관으로 이동했다고 한다.

”센다이의 건물은 워낙 튼튼해서 아파트 자체가 어떻게 될 리는 없겠지만, 가재도구가 다 넘어지고 해서 아이들이 두려워할까 봐 걱정이 되더라고요”

영사관에 모인 교민은 11일 밤만 해도 3∼4가족 20여명에 불과했지만, 12일 급속하게 불어나 저녁에는 150∼200명에 이르렀다.

총영사관 직원들은 개인 비용을 염출하고, 집에 있던 이불까지 들고 와 갑자기 불어난 교민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려고 애를 쓰는 걸로 보였지만, 인터넷에 뜬 ‘믿거나 말거나’ 식의 괴담에 힘이 쭉 빠져하더라는 게 A씨의 설명이다. 내용은 ‘센다이 총영사관 직원들이 자기들은 밥을 먹으면서 교민들은 주지 않더라’는 것.

A씨는 “영사관측이 12일 저녁에 큰 통으로 밥을 두 통 준비해서 여성들과 아이들에겐 쌀밥과 고기를 먹였지만, 나중에 도착한 남성들 일부가 먹지 못했다”며 “이걸 두고 누군가 인터넷에 악성 소문을 퍼뜨린 것 같다”고 말했다.

사상 최악의 강진과 쓰나미 속에도 일본 언론이 비교적 안정된 보도를 하는 반면, 국내 일부 매체가 ‘열도 침몰’ 같은 제목으로 자극적인 보도를 하거나 희생자 수 부풀리기를 하는 데 대해서도 A씨의 불만이 컸다.

’연락이 닿지 않는’ 걸 ‘실종’이라고 표현하거나, 지진의 ‘규모’와 ‘진도’를 혼동하고, 방사능이 터지면 금방 일본 전역에 난리라도 난 것처럼 묘사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A씨가 걱정하는 건 지나친 공포가 아이들에게 상처로 남는 것인 듯했다.

”센다이에 사는 일본 사람들 보면 금방 느낄 수 있지 않나요? 걸음걸이가 좀 빨라지긴 했지만, 평온하게 일상생활을 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한국에선 자꾸 전화가 오고, 무슨 난리라도 난 줄 아는가 봐요”

인터뷰를 듣고 있던 다른 한 주부는 “나는 일본 정부 발표랑 NHK 뉴스밖에 못 믿겠어요”라고 비아냥 섞인 말을 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