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카길社 “한.미 FTA, NAFTA 이후 최대 기회”

美카길社 “한.미 FTA, NAFTA 이후 최대 기회”

입력 2010-09-22 00:00
수정 2010-09-22 2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豪농업단체 “한-豪 FTA 내년초까지 체결돼야”

 한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미국과 호주에서 동시에 제기됐다.

 미국의 거대 농산물 유통기업인 ‘카길(Cargill)’의 데브리 보너 국제담당 이사는 한국과 콜롬비아,파나마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미국의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보탬이 될 것이라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카길은 주식시장에 상장되지 않는 개인기업이지만 66개국에서 임직원 13만여명을 두고 있는 농산물 분야의 거대 다국적 기업이다.

 보너 이사는 “한국과 FTA는 북미자유협정(NAFTA) 이후 상업적인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다”면서 “농산물 분야에서 한국은 거대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너 이사는 “카길은 이 같은 형태의 FTA를 절대적으로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2007년 6월에 한국과 FTA를 체결했지만 의회 승인이 지연되면서 발효시점이 미뤄져 왔다.

 한편 호주 호주농업연맹(NFF)의 데이비드 크롬비 의장은 22일 연맹 무역위원회 행사에서 한국과 호주 간 FTA가 내년 초까지 체결돼야 한다고 언급,호주 신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크롬비 의장은 한국이 (호주와 경쟁국인) 미국과 체결한 FTA가 발효될 경우 호주의 대(對) 한국 농산품 수출액은 2030년까지 약 8억 호주달러(약 8천700억원)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한국과 FTA가 체결될 경우 호주의 대 한국 농산품 수출액은 2030년까지 53.5%,약 7억 호주달러(약7천600억원)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카고.캔버라 블룸버그.신화=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