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뒤덮는 ‘식량 대재앙’

서아프리카 뒤덮는 ‘식량 대재앙’

입력 2010-06-05 00:00
수정 2010-06-05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5년 차드에서 수천명의 아이들이 목숨을 잃은 ‘서아프리카 대재앙’이 재연될 수 있다.”

서아프리카 동쪽 사바나(열대초원)와 사하라사막 일대에서 내년에 최대 1000만명이 아사 위기에 놓일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3일(현지시간)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이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지역의 곡물생산량은 올 가을 기후변화로 인해 우기가 늦춰지고, 불규칙한 폭우가 이어지면서 2008년에 비해 34% 가량 감소할 전망이다. 토마스 양가 WFP 식량 계획관은 “곡물생산량 감소는 결국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기 힘들어질 것”이라며 “각 가정의 식량 비축분이 예년에 비해 2개월 가량 빠르게 소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을 나라로는 니제르, 차드, 부르키나파소가 꼽혔다.

니제르는 710만명, 차드는 200만명이 굶어죽을 위기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밖에 카메룬 북부, 말리, 세네갈 등지에서는 메뚜기 등 해충이 창궐, 식량이 급격하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WFP는 이 같은 상황이 지난 2005년 아프리카 식량 대란처럼 재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당시 니제르에서만 360만명이 굶주림을 겪었고, 80만명에 이르는 아이들이 영양실조와 전염병에 걸려 수천명이 목숨을 잃었다. 양가 계획관은 “아프리카 정부들은 즉각 식량 비축에 나서야 한다.”면서 선진국의 도움을 강조했다.

아프리카 구호를 위한 세계 각국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런던에 본부를 둔 국제구호단체 옥스팜은 자료를 통해 “유럽연합(EU)이 어려운 경제사정에도 불구하고 서아프리카 구호를 위해 2400만유로(약 360억원)를 지원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감사를 보낸다.”면서 “아프리카 국가들이 실제 필요한 금액의 50% 수준만 지원받고 있는 어려운 상황에서 각국의 원조는 생명을 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6-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