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폭격에 병원·학교마저 폐허…구호 의존 ‘하늘만 열린 교도소’
‘하늘만 열린 교도소’ ‘지구상에서 가장 큰 감옥’31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의 공격을 받은 국제 구호선이 향하던 가자지구는 ‘세계의 화약고’로 불리는 중동에서 현재 가장 첨예한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곳이다. 이스라엘 영토 안에 있는 팔레스타인 자치구역으로 면적은 360㎢, 인구는 약 150만명.
2006년까지만 해도 평화의 기운이 감돌았다. 이스라엘은 2005년 가자지구 내에 유대인 정착촌을 없애고 군병력을 철수하며 팔레스타인에 온전히 땅을 돌려줬다. 화해의 표시였다. 그러나 2007년 팔레스타인 무장 정치조직 하마스가 온건파를 몰아내고 이 지역을 차지하자 상황이 급변했다.
‘이슬람 저항운동’을 뜻하는 아랍어 단어의 약칭인 하마스는 태생적으로 이스라엘과는 한 땅에서 살 수 없는 집단이다. 하마스의 강령은 팔레스타인 해방의 유일한 수단으로 ‘지하드’(성전)를 명시하고 있다. 실제로 하마스는 이스라엘 남부에 로켓 공격 등 군사도발을 일삼아 왔다. 이스라엘의 대응도 강경했다. 군사적 보복과 동시에 가자지구로 향하는 모든 통로와 물류를 봉쇄했다. 이 때문에 르몽드는 가자지구를 ‘하늘만 열린 교도소’로 표현하기도 했다.
외신들이 전하는 가자지구의 실상은 참혹하다. 도시는 온통 부서지거나 불탄 건물로 가득하고 이스라엘의 폭격으로 구호시설과 학교, 병원까지 폐허로 변했다. 식량을 구할 수 없어 구호품만이 유일한 희망이지만 이스라엘은 극히 제한적인 구호만을 허용하고 있다. 그나마 하마스의 공격이나 저항이 있을 때는 이마저도 막기 일쑤다. 이스라엘 정부는 “구호품이 전쟁을 준비하기 위한 군수용품이나 군사시설을 짓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단체와 세계 각국에서는 생존을 위해 민간인들이 파놓은 밀수용 땅굴마저 파괴하고 의료 서비스와 식수까지 봉쇄하는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편 이집트는 1일 가자지구로 인도적 구호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라파 국경 통과소를 개방했다. 이집트 시나이 반도에 있는 라파 국경 통과소는 이스라엘을 거치지 않고 가자지구로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통로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6-0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