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버리는 자 줍는 자/임병선 논설위원

[길섶에서] 버리는 자 줍는 자/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1-11-01 20:10
수정 2021-11-02 0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래전에 본 TV 드라마의 한 장면이 떠올라 풉, 웃음이 터져 나왔다. 제목도 생각 안 나고 줄거리도 기억나지 않는데 이상하게 그 장면만 선명하다. ‘넌 버리고 난 줍는다’라고 쓰여 있는 담벼락 앞에서 미화원이 열심히 쓰레기를 치우는 장면이었다.

단풍이 바랜 10월 넷째주 일요일 설악산 오세암부터 봉정암까지 걸으며 플로깅(하이킹하며 쓰레기 줍는 일)을 했다. 산길을 걷는데 자꾸 과자 봉지나 휴지 조각 등이 눈에 밟혔다. 워낙 사람들의 발길이 적은 곳이라 쓰레기 양은 많지 않았다. 다만 같은 과자 봉지가 계속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어 한 사람의 짓이 아닌가 생각됐다. ‘그’는 열심히 버렸고, 난 좋은 일 한다면서도 부아가 치밀었다.

오세암에서 봉정암 오르는 길은 4㎞로 길지 않지만 오를 만하면 내려가고, 오를 만하면 내려가는 길의 연속이다. 스님들과 불자들에게 온전히 내려놓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라는 깨우침을 주는 길인 것 같은데 ‘그’는 정말 꾸준히 버렸다. 대신 난 울화만 쌓이고 있었다.

그런데 플로깅을 하겠다고 마음먹은 지 얼마나 됐다고 벌써 이러는가 싶었다. 봉정암 윗마루에서 용아장성과 공룡능선을 굽어본 뒤 내려오다 수렴동의 옥색 물빛 바라보며 한없이 부끄러워졌다.

2021-11-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