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우한 폐렴과 춘제(春節)/이지운 논설위원

[길섶에서] 우한 폐렴과 춘제(春節)/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기자
입력 2020-01-23 15:58
수정 2020-01-24 03: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황이 이런데 왜 굳이 고향에 가려는 거죠?” 2008년 설을 앞두고 기명 칼럼을 이렇게 시작했다. ‘100년 만의 폭설’을 맞은 당시 춘제(春節·설), 중국 전역에서 도로와 철로가 폐쇄되고 있는데도 버스터미널과 기차역 광장으로 인파가 쏟아져 나오는 현실을, 미국 CNN뉴스의 앵커는 도무지 이해하지 못했다. 중국중앙TV(CCTV)는 사투의 현장들을 전했다. 외지고 좁은 도로 위 오도 가도 못한 채 줄지어 늘어선 버스들. 그 안에서 추위·감기, 굶주림에 고통받는 승객들. 흩어졌다, 모였다 하는 기차 역사 앞 광장을 새까맣게 뒤덮은 수십만 군중. “열차 개통 기다린 지 1주일째” “버스에서 내려 봇짐 지고 수백리 산 길을 걸어간” 사연들. 언론들은 “길에 오르는 순간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 “제발 남아라, 남아라, 남아라” 호소했다. 그래도 농민공들은 고향 가는 길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해 춘제, 눈물 짓게 하는 숱한 농민공들의 사연을 TV를 통해 보고 또 보았다.

‘우한 폐렴’의 발생지가 봉쇄됐다. 후베이성 성도(省都) 우한은 중국 철도의 허브다. 주변 9개 성과 연결된 화중(華中)의 노루목이다. 가족 상봉까지 어떤 어려움을 겪게 될까. 더는 십수년 전 그 농민공은 아닐 테지만, 그들에게 춘제가 어떤 의미인지 대략은 알기에 마음이 아프다.

jj@seoul.co.kr
2020-01-2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