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도자기 역사 몰아주기/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도자기 역사 몰아주기/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3-25 23:02
수정 2016-03-25 2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옹원(司饔院])은 조선시대 궁중의 먹을거리 공급을 맡은 관청이다. 사옹원의 그릇 공장인 분원(分院)은 땔감을 찾아 경기도 광주 일대를 옮겨 다녔다. 그러다 영조 시대 땔감을 수운으로 충당할 수 있는 한강 지류 우천(牛川) 변에 정착했다. 사옹원 기관 명칭은 그대로 마을 이름이 됐다. 잠깐이지만 이 동네에서 살았던 인연이 있다.

분원리는 남종면에 속한다. 그런데 광주 땅 동북쪽 끝에 남종(南終), 즉 ‘남쪽 끝’이라는 지명이 붙은 이유가 오랫동안 궁금했다. 최근 우연히 양평의 지명 변천사를 보다가 의문이 풀렸다. 양평군은 양근군과 지평군이 고종 시대 통합되면서 생긴 이름이다. 곧 남종면은 양근군의 남쪽 끝이었다. 남종면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양평군에서 떨어져 나와 광주군에 편입됐다. 분원리는 왕실 그릇 공장이 있던 동안 내내 광주 땅이 아니라 양평 땅이었다.

광주는 명실상부한 조선 도자기 역사의 중심지이다. 실제 왕실 도자기 역사의 대부분은 광주에서 쌓아 올렸다. 하지만 양평도 영예의 상당 부분을 나눠 가져야 했다. 도자기 역사를 광주에 몰아주려는 의도가 담긴 행정구역 개편은 아니었을까 소설을 써 본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3-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