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말 빌리기/주병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말 빌리기/주병철 논설위원

주병철 기자
입력 2015-10-02 18:00
수정 2015-10-02 2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람의 성격이나 성품 등을 판단하는 잣대 가운데 하나가 말이다. 주고받는 말 속에서 어떤 사람인지를 대충 분간해 낼 수 있다. 주변에 말이 많은 친구가 있다. 시도 때도 없이 툭툭 던지는 말에 친구들이 경망스럽다고 핀잔을 준다. 눈살을 찌푸리기도 한다. 그럴수록 더 살갑게 다가온다. 그냥 웃음이 난다. 악의나 복선이 없다. 더러 친구 간 껄끄러운 얘기도 스스럼없이 총대를 멘다. 그럴 땐 모두 ‘약방의 감초’라고 치켜세운다. 간사한 게 사람이다.

또 다른 친구는 말수도 적을뿐더러 여간해서 입을 열지 않는다. 남의 얘기를 듣기만 한다.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다. ‘크렘린 같은 사람’이란 별명이 있다. 답답하기도 하고 경계하기도 한다. 근데 남의 말을 끝까지 경청해 주는 남다른 재주가 있다. 말이 새나가지 않아 신뢰하는 친구도 있다.

‘말 빌리기’를 좋아하는 친구도 있다. 뭔가 알고 싶어도 대놓고 묻지 않는다. 다른 친구를 통해 알음알음 알아낸다. 그러고는 시치미를 뚝 뗀다. 말은 안 해도 알고 싶은 건 다 알려고 하고, 알아내야만 직성이 풀린다. 친구들은 내공이 깊은 친구라고 말한다. 근데 그게 좋다, 나쁘다 등의 평은 안 한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5-10-0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