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새해 인사/오승호 논설위원

[길섶에서] 새해 인사/오승호 논설위원

입력 2013-01-03 00:00
수정 2013-01-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월이 흘러도 새해 인사의 소재는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 것 같다. 대부분 ‘건강’ ‘행운’ ‘성원’ ‘희망’ ‘감사’ ‘웃음’ ‘기원’ 등의 용어들로 채워진다. 고교 동창 등 같은 또래들은 세월이 빠르게 흘러가는 것을 아쉬워하면서 건강을 챙길 것을 주문하는 이들이 많다. “한 살 한 살 불어나는 인생의 나이테에 건강도 신경써야 할 나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한 지인은 “15초간 박장대소하면 100m 전력질주와 동일한 운동 효과가 있답니다”라면서 웃음이 가득한 한 해를 기원한다.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라 했던가. 유쾌한 웃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건강과 행복의 상징이다.

지난 2005년 한 기업의 새해 인사 코드는 희망찬가였다. “라라라, 새해엔 모두 즐거워질 거예요.” 가계부채와 카드사 부실 등을 잘 해결해 경기가 회복되기를 기원했다. 2000년대에는 ‘부자되세요’, ‘새해에는 돈(豚) 꽉 잡으세요’ 등 경제 위기와 관련된 것들이 적잖았다. 올해 기업들의 신년 메시지는 ‘도전의식’ ‘위기극복’ ‘혁신’ ‘생존경쟁’ 등이다. 다시 한번 희망을 노래하자.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3-01-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