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너/주병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너/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2-01-17 00:00
수정 2012-01-1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얼마 전 전혀 알지 못하는 어느 출판사가 새로 출간했다며 책 한 권을 보내왔다. 책 제목이 와 닿았다. ‘너’였다. 한 단어가 주는 강렬함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발칙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글쓴이를 보니 정신과 의사였다. 본업보다는 방송에 더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 호기심이 뚝 떨어졌다. 그래서 책상 한 귀퉁이에 쌓아 두었는데, 문득 책이 손에 잡혔다.

내용은 이랬다. 우리는 ‘나’에 대해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벅차 ‘너’를 생각할 여유가 없고, 정작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조차 헤아리지 못하는 게 ‘나’라는 존재라는 것이다. ‘나’는 살기 위해 ‘너’라는 존재가 필요하고, ‘너’를 ‘나’만큼 알고 있어야 ‘나’가 살 수 있다고 했다. 인간 세상의 불통이 ‘너에 대한 무지’에 기인한단다.

김춘수의 ‘꽃’이란 시가 오버랩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의미가 되고 싶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1-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