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방명록의 ‘반듯이’가 그리 매끄러워 보이지 않았다. ‘반듯이’가 적절치 않다는 논란이 일었다. ‘반드시’여야 했고, 이어지는 서술어는 ‘지키겠습니다’가 어울린다는 주장도 있었다. 논란에 대해 윤 후보 쪽은 ‘똑바로라는 뜻’으로 썼다고 밝혔다.
‘반듯이’와 ‘반드시’. 국어 선생님들이 혼동하기 쉽다고 강조하던 말이었다. ‘반듯이’와 ‘반드시’는 [반드시]로 똑같이 발음하지만, 표기할 땐 구분해서 정확히 적어야 한다고 자주 말했다. 문장에서 ‘반듯이’는 “고개를 똑바로 들어”라고 할 때의 ‘똑바로’처럼 ‘굽지 않고 바르게’란 뜻일 때, ‘반드시’는 “약속을 꼭 지켜야 해”라고 할 때의 ‘꼭’처럼 ‘틀림없이 꼭’이란 뜻일 때 써야 한다고 했다. 그래도 여전히 헷갈리게 적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일상에서 둘을 섞어 쓴다고 ‘크게’ 지적하는 일도 드물다. 상황이 되면 말을 건네는 정도다.
그렇지만 사회적 지명도가 높은 정치인들은 얘기가 조금 달라진다. 국민들은 이들에게 표현이나 맞춤법의 정확성을 더 엄격히 요구한다. 정치인 같은 유명 인사들은 자신도 모르게 이른바 ‘유명세’를 낸다. 여기서 ‘세’는 세금을 가리킨다. 실제 세금을 내는 것은 아니고 유명하기 때문에 치러야 하는 불편이기도 하고 곤욕이기도 하다. 이것을 세금에 빗대 우린 ‘유명세를 치른다’고 말한다. 유명해져서 얻는 이익도 있을 것이고, 사회적 책임도 따르는 것일 테니까. 그래서 돈이 아니라 다른 것으로 세금을 내게 하는 건지도 모른다.
정치인들에게는 정확성에 더해 진정성이 담긴 말을 국민은 더 원한다. 말은 번지르르할 것이라 여긴다. 말이란 껍데기 같은 것이어서 제대로 들리지 않을 때도 많다. 그래서 말 뒤에 숨은 것, 말에 배어 있는 태도를 보려고 숨을 죽이곤 한다. 거기에 얼마간이라도 진실이 배어 있기에.
언어로 나타난 사실은 왜곡되기 쉽다. 언어에 진실을 담으려 하지만 비틀어지는 일이 허다하다. 말과 글은 있는 그대로 듣고 읽으면 낭패를 보기 쉽다. 잘 듣고 잘 읽는 게 더 중요하다.
2021-11-1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