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공릉천에서 만난 황오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C_20230314012406_O2.jpg)
![2021년 11월 공릉천에서 만난 황오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4/SSC_20230314012406.jpg)
2021년 11월 공릉천에서 만난 황오리.
하늘에서 가느다란 고양이 소리가 들린다. 내 귀가 이상한 걸까. 소리가 나는 방향을 잘못 짚었나 싶어 다시 주위를 둘러본다. 하늘 위로 새들이 날아가는데 분명 고양이 소리는 그 새들이 내고 있다. 오색딱따구리가 낑낑거리는 개소리를 내는 것처럼 저 새가 고양이 소리를 내는 게 분명하다. 그 새들이 내려앉은 후 아웅 소리가 물가를 채운다. 하늘을 나는 고양이는 바로 황오리였다.
고양이 소리를 내는 오리라니, 필시 체격이 작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해다. 작은 새들이 대체로 가늘고 예쁜 소리를 내긴 하지만 새들의 세계에서 체격과 목소리는 큰 상관이 없는 경우도 많다. 발정기 고양이 소리 같은 가는 소리를 내는 황오리도 오리치고 작지 않다. 가장 흔하게 보이는 흰뺨검둥오리보다 크게 느껴진다. 비슷하거나 오히려 큰 크기인데 도널드 덕처럼 꽥꽥거리지 않는 오리가 있다니 신기할 따름이다.
![주인 탐조인·수의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1/SSC_20230221002404_O2.jpg)
![주인 탐조인·수의사](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21/SSC_20230221002404.jpg)
주인 탐조인·수의사
그런데 그 황오리의 화려한 색은 보호색일지도 모른다. 몽골에 새를 보러 갔을 때, 황오리가 자신과 똑같은 색의 바위절벽에 앉아 알을 품고 있었다. 같이 가신 분이 알려 주지 않았다면, 그리고 황오리가 큰 새가 아니라면 발견하지 못했을 정도로 색이 비슷했다.
따뜻한 주말 황오리를 보러 공릉천으로 갔더니 이미 많이 고향으로 갔는지 수가 확 줄었다. 벌써 가는구나 하며 떠나보내는 마음은 늘 아쉽지만 가야 또 온다는 것을 안다. 가서 애기들 잘 낳아 키우고 가을에 더 많이 올 수 있기를, 그때까지 공릉천도 잘 지킬 수 있기를 설악산과 제주도 소식을 들으며 파헤쳐지는 공릉천을 무거운 마음으로 보며 바라고 또 바란다.
2023-03-1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