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하늘을 나는 고양이/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하늘을 나는 고양이/탐조인·수의사

입력 2023-03-14 01:24
수정 2023-03-14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1년 11월 공릉천에서 만난 황오리.
2021년 11월 공릉천에서 만난 황오리.
아웅~ 아아아웅~.

하늘에서 가느다란 고양이 소리가 들린다. 내 귀가 이상한 걸까. 소리가 나는 방향을 잘못 짚었나 싶어 다시 주위를 둘러본다. 하늘 위로 새들이 날아가는데 분명 고양이 소리는 그 새들이 내고 있다. 오색딱따구리가 낑낑거리는 개소리를 내는 것처럼 저 새가 고양이 소리를 내는 게 분명하다. 그 새들이 내려앉은 후 아웅 소리가 물가를 채운다. 하늘을 나는 고양이는 바로 황오리였다.

고양이 소리를 내는 오리라니, 필시 체격이 작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해다. 작은 새들이 대체로 가늘고 예쁜 소리를 내긴 하지만 새들의 세계에서 체격과 목소리는 큰 상관이 없는 경우도 많다. 발정기 고양이 소리 같은 가는 소리를 내는 황오리도 오리치고 작지 않다. 가장 흔하게 보이는 흰뺨검둥오리보다 크게 느껴진다. 비슷하거나 오히려 큰 크기인데 도널드 덕처럼 꽥꽥거리지 않는 오리가 있다니 신기할 따름이다.
이미지 확대
주인 탐조인·수의사
주인 탐조인·수의사
황오리는 유라시아대륙 중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한국을 찾는 겨울철새다. 몸통 전반은 주황색인데, 날개는 흰색과 검은색이 어우러져서 날 때 보면 주황과 흰색과 검은색의 대비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검게 보이는 날개깃은 빛을 잘 받으면 중간 부분이 검은 녹색의 금속 광택을 보여 더욱 화려하다. 겨울 물가에 모인 오리 중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녀석이다. 해가 지기 전 붉은 햇살이 개천에 내려앉을 때 황오리들이 황금색으로 빛나는 걸 보고 ‘이래서 황오리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런데 그 황오리의 화려한 색은 보호색일지도 모른다. 몽골에 새를 보러 갔을 때, 황오리가 자신과 똑같은 색의 바위절벽에 앉아 알을 품고 있었다. 같이 가신 분이 알려 주지 않았다면, 그리고 황오리가 큰 새가 아니라면 발견하지 못했을 정도로 색이 비슷했다.

따뜻한 주말 황오리를 보러 공릉천으로 갔더니 이미 많이 고향으로 갔는지 수가 확 줄었다. 벌써 가는구나 하며 떠나보내는 마음은 늘 아쉽지만 가야 또 온다는 것을 안다. 가서 애기들 잘 낳아 키우고 가을에 더 많이 올 수 있기를, 그때까지 공릉천도 잘 지킬 수 있기를 설악산과 제주도 소식을 들으며 파헤쳐지는 공릉천을 무거운 마음으로 보며 바라고 또 바란다.
2023-03-1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