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M 인수 카카오, 케이팝 저변과 다양성 넓히길

[사설] SM 인수 카카오, 케이팝 저변과 다양성 넓히길

입력 2023-03-14 01:24
수정 2023-03-14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이 카카오가 경영권을 갖고 하이브는 플랫폼 협력을 하는 방향으로 마무리됐다. 사진은 경기도 판교 카카오 사옥(위), 서울 성동구 SM 사옥(가운데), 서울 용산구 하이브 본사. 연합뉴스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이 카카오가 경영권을 갖고 하이브는 플랫폼 협력을 하는 방향으로 마무리됐다. 사진은 경기도 판교 카카오 사옥(위), 서울 성동구 SM 사옥(가운데), 서울 용산구 하이브 본사. 연합뉴스
SM엔터테인먼트를 놓고 한 달 넘게 잡음을 빚었던 카카오와 하이브의 분쟁이 카카오의 승리로 일단락됐다. 카카오가 최대주주로 경영권을 갖고 하이브는 2대 주주로 가수와 팬을 이어 주는 플랫폼 협력을 하기로 했다. 볼썽사나운 ‘쩐의 전쟁’이 계속됐다면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치킨게임으로 변질되면서 실익 없는 상처만 남길 뻔했다.

SM 인수전은 SM의 창업자인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 1인 체제의 이익 취득 구조가 문제되면서 시작됐다. 이씨의 개인 회사인 라이크기획이 SM 소속 아티스트의 자문 및 프로듀싱 명목으로 과도한 수익을 챙겨 온 ‘황제경영’이 폭로됐다. 축적된 공로가 크다지만 프로듀서 한 사람이 매출액의 15%를 가져가는 방식은 불합리했다. 행동주의펀드의 문제 제기로 도마에 오른 업계의 관행은 케이팝 성공 이면의 그늘 그 자체였다. 폐쇄적 경영 방식과 과도한 창업자 의존 시스템, 아티스트와의 불공정 계약 등 세계 무대를 주름잡는 케이팝의 위상과는 딴판인 전근대적 환경에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이런 불합리가 가려진 채 글로벌 시장에서 케이팝의 경쟁력이 지속되리라는 것은 헛꿈이다. BTS 활동 중단 이후 안 그래도 케이팝의 성장 둔화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마당이다.

이번 진통은 글로벌 수준의 종합엔터테인먼트로 도약하기 위해 한 번은 건넜어야 할 강이다. 카카오의 IT와 BTS를 배출한 하이브의 팬덤 플랫폼이 손잡으면 글로벌시장에서 케이팝 규모와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인수 경쟁이 끝이 아니라 투명한 경영, 체계적 제작 시스템 확립으로 케이팝 저변과 다양성을 크게 확대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글로벌 메이저 음반사인 유니버설ㆍ소니ㆍ워너와 어깨를 겨루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
2023-03-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